이애(李愛)와 경신공주(慶愼公主)의 묘소는 포곡읍 신원리 저수지 윗쪽 산기슭에 있다. 묘소는 방형 쌍분(方形 雙墳)으로, 좌측에 있는 이애의 묘는 봉분 하단까지 2단의 방형지대석(方形地石)이 놓여져 있으며, 우측의 경신공주 묘 역시 규모나 형태가 동일하다. 묘 앞의 각기 세워 진 2기의 묘 비석은 한식기와집 맞배지붕을 연상케 하는 소략화(小略化) 된 양식을 보이고 있다. 그 앞에는 상석, 향로석이 각기 놓여져 있고 중앙에는 장명등, 좌우에는 문인석, 무인석 등의 호석(護石)이 각각 배치되어 있다. 봉분 앞에 놓인 상석을 제외하고는 모두 조선 초기의 원형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다.(출처 : 용인시청)
이애는 태조 이성계의 맏딸인 경신공주의 남편. 박포의 난을 평정하고 1등 공신이 됨.
1번 위치 : 용인 이사위묘(용인 향토유적63호, 이중인 아들, http://blog.daum.net/dbsqkqh/1228)
2번 위치 : 용인 이일장군 묘(용인 향토유적 21호, 이백지의 7대손, http://blog.daum.net/dbsqkqh/1227)
3번 위치 : 이애-경신공주묘
용인시 모현면 매산사거리에서 57번 도로를 따라 에버랜드 방향으로 4km 정도 가다보면 안내판이. 여기서 4시 방향으로 우회전.
건물 앞에서 좌회전. 사진 우측 전신주 옆에 신도비가 있음.
직진를 하면되는데 이근처에서 주차를 함.
멀리 이정표가 보인다.
돌계단 위에 이정표가.
저수지 왼쪽길로 간다.
저멀리 숲가운데 안내판이 보인다.
용인시 모현면에 다음과 같은 분들이 잠들어 있어 ‘살아서 진천 죽어서 용인’이라는 말이 있지 않나 한다.
-용인 정몽주선생묘(경기도 기념물1호, http://blog.daum.net/dbsqkqh/1610)
-용인 저헌 이석형선생묘(경기도 기념물171호, http://blog.daum.net/dbsqkqh/1603)
-용인 오윤겸선생묘(경기도 기념물104호, http://blog.daum.net/dbsqkqh/1588)
-용인 오달제선생 묘 및 대낭장비(용인 향토유적3호, http://blog.daum.net/dbsqkqh/1609)
-용인 남구만묘(용인 향토유적5호, http://blog.daum.net/dbsqkqh/2661)
-용인 오명항선생 묘(용인 향토유적12호, http://blog.daum.net/dbsqkqh/1831)
-용인 이일장군 묘(용인 향토유적 21호, http://blog.daum.net/dbsqkqh/1227)
-용인 오희문묘(용인 향토유적34호, http://blog.daum.net/dbsqkqh/1587)
-용인 홍계희 묘(용인 향토유적37호, http://blog.daum.net/dbsqkqh/1830)
-용인 이사위묘(용인 향토유적63호, http://blog.daum.net/dbsqkqh/1228)
또 가까운 곳에 이런 분들도 잠들어 있다.
-용인 채제공선생 묘(경기도 기념물17호, http://blog.daum.net/dbsqkqh/1225)
-용인 이애-경신공주묘(용인 향토유적32호, http://blog.daum.net/dbsqkqh/1825)
-용인 정윤복-정호선 묘(용인 향토유적47호, http://blog.daum.net/dbsqkqh/1828)
-용인 이백지 묘(용인 향토유적57호, http://blog.daum.net/dbsqkqh/1827)
'*경기-인천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인 이백지 묘(용인 향토유적57호) (0) | 2012.02.15 |
---|---|
용인 이애-경신공주 신도비 (0) | 2012.02.15 |
인천 월미도 (0) | 2012.02.09 |
인천 차이나타운 (0) | 2012.02.09 |
용유도 선녀바위 (0) | 2012.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