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용연 용두암(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57호) 제주에 30번 가까이 갔지만 혼자 찾아가기는 처음이다. 대중교통으로 연수차 제주 아스타호텔에 가는 방법이다. 경기도 용인에서 김포공항-제주공항-버스타고 아스타 호텔에 가는 중이다. 남서광마을 입구에서 내려 걸어 갔다. 일과 후 지인들과 용두암에 가는 중이다. 용연 구름다리이.. *제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8.11.21
제주 사려니 숲길 사려니 숲길 입구에 왔다. 붉은선따라 가다가 노란선으로 갔다. 붉은 오름 방향이다. 사려니 숲길 안내 천미천 물찻오름과 사려니숲길 안내소 방향 물찻오름 연리지의 나무 삼나무숲 사려니 숲길 붉은오름, 사려니 숲길입구, 물찻오름 방향 안내 가수기목. 포토죤 *제주/기타 2018.11.21
제주 평대리 비자나무 숲(천연기념물374호) 전에 가본 비자림(http://blog.daum.net/dbsqkqh/201). 퇴직자 연수차 머물렀던 제주 아스타호텔에서 천연기념물374호인 평대리 비자나무숲에 가려고 준비중이다. 주차장에 도착했다. 입장료는 성인 3,000원, 청소년 군경, 어린이는 1,500원이다. 800살 넘은 새천년 비자나무. 비자나무 사랑나무 벼락 .. *제주/천연기념물 2018.11.21
제주 사라봉공원과 모충사 사라봉공원 안내도. 사라공원 안에 모충사, 순국지사 조봉호 기념비, 2001 제주시 타임캡슐, 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64호인 김만덕 묘비, 김만덕 기념관인 만덕관, 의녀반수 김만덕 묘, 의병항쟁기념탑 등이 있다. 모충사 2001 제주시 타임캡슐 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64호인 김만덕 묘비 김만.. *제주/기타 2013.05.28
제주 김만덕묘비(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64호) 사라본 공원 안에 있는 모충사 경내에 있다. 김만덕의 기념관인 만덕관과 2001제주시 타임캠슐 사이에 있다. 왼쪽에 보이는 건물이 만덕관 오른쪽 긑에 보이는 돌탑이 2001제주시 타임캡슐 추사 김정희가 쓴 은광연세 1795년(정조19)에 제주도에 큰 흉년이 들어 백성들이 굶어죽게 되자 .. *제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5.28
국립제주박물관 제주도는 천혜의 아름다운 자연환경과 지리적 배경을 바탕으로 선사시대 이래로 독특한 역사와 문화를 형성 발전시켜온 해양문화의 중심지입니다. 즉 한반도와 중국, 일본을 잇는 동북아시아지역 문화교류의 주요 거점으로서 일찍이 주변의 선진문화를 받아들여 독자적인 문화를 창조.. *제주/기타 2013.05.28
제주 이형상 수고본-탐라순력도(보물652-6호) 국립제주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는 보물652-6호인 탐라순력도의 복제품이다. 사진 출처 : 문화재청 이형상 수고본-탐라순력도(李衡祥 手稿本-耽羅巡歷圖)는 조선 숙종 때의 국학자이자 실학의 선구자였던 병와 이형상(1653∼1733)이 남긴 원고본으로, 여기에는 그의 저서와 함께 그와 관련된 .. *제주/보물 2013.05.28
제주 장한철의 표해록(제주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27호) 국립제주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는 장한철의 표해록이다. 향시에서 장원한 장한철은 한양으로 과거보러 가던 중 풍랑을 만나 오키나와 열도에 도착한다. 왜구의 습격을 받고 겨우 살아나 표류하던 중 남해의 청산도에 도착한다. 강진을 거처 제주에 도착 후 다시 과거에 응시하나 낙방한.. *제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5.28
제주 삼사석비(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66호) 제주 삼성혈 전시관 앞에 있다.작은 크기의 비석 1기이다. 제주도에 현재 전하는 비석 가운데서 가장 오래된 비석이다. 비석의 상태는 두 동강이 났던 것을 현재 접합하였고 글자는 毛자가 마멸되어 있으나 나머지 글자는 완전한 상태이며, 외관상 복원 상태가 양호하다. 비는 김정의 시.. *제주/유형문화재,기념물 2013.0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