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 황남대총 남분 금제 허리띠(보물629호) 소재지는 국립중앙박물관인데 본인은 국립경주박물관에서 촬영한 것이다. 황남대총 남분 금제 허리띠(皇南大塚南墳 金製銙帶)는 경주시 황남동 미추왕릉 지구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 무덤인 황남대총에서 발견된 허리띠(과대)와 띠드리개(요패)이다. 황남대총은 2개의 봉분이 남·북.. *서울/국보,보물 2017.02.05
용산 금동약사여래입상(보물328호) 보물328호 금동약사여래입상은 검은 상자 위에 계신 분이다. 소재지는 국립중앙박물관인데 본인은 국립경주박물관에서 촬영한 것이다. 금동약사여래입상(金銅藥師如來立像)는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높이 29㎝의 자그마한 금동불로, 광배(光背)와 대좌(臺座)는 없어졌지만 비교적 잘 보.. *서울/국보,보물 2017.02.05
용산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국보83호) 소재지는 국립중안박물관인데 본인은 국립경주박물관에서 촬영했다.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국보 제78호)과 함께 국내에서는 가장 큰 금동반가사유상으로 높이가 93.5㎝이다. 1920년대에 경주에서 발견되었다고 전하나 근거가 없으며, 머리에 3면이 둥근 산 모양.. *서울/국보,보물 2017.02.05
용산 재조본 경률이상 권8(보물1156호)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촬영한 재조본 경률이상 권8. 현장에는 '팔만대장 경판으로 후대에 인쇄한 학습용 불교 사전'으로 표기 되어 있네요. 고유명사인 ' 재조본 경률이상 권8'로 했으면... 이 책은 경(經)과 율(律)에서 요점을 각 주제별로 뽑아 출전을 표시하여 학습하는데 편리하게 엮은 .. *서울/국보,보물 2016.09.23
용산 대방광불화엄경 정원본 권20(보물1083호) 대방광불화엄경은 줄여서 ‘화엄경’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부처와 중생이 둘이 아니라 하나라는 것을 기본사상으로 하고 있다. 화엄종의 근본경전으로 법화경과 함께 한국 불교사상 확립에 크게 영향을 끼친 경전이다. 이 책은 당나라의 삼장반야(三臟般若)가 번역한 화엄경 40권 중 권.. *서울/국보,보물 2016.09.02
용산 불정심관세음보살대다라니경(보물691호) 불정심관세음보살대다라니경(佛頂心觀世音菩薩大陀羅尼經)는 고려 중기에 펴낸 것으로 권 상·중·하 3권이 병풍처럼 펼쳐서 볼 수 있는 형태로 되어있으며, 펼쳤을 때의 크기는 세로 5.3㎝, 가로 275㎝이다. 권 상·중·하 뒤에는『일자정륜왕다라니』,『자재왕치온독다라니』,『관세.. *서울/국보,보물 2016.09.02
용산 도기 서수형 명기 (보물636호) 문화재청에는 '도기 서수형 명기'인데 '서수모양 주전자로 표기되어 있네요. 도기 서수형 명기(陶器 瑞獸形 明器)는 경주 미추왕릉 앞에 있는 무덤들 중 C지구 제3호 무덤에서 출토된, 거북 모양의 몸을 하고 있는 높이 15.1㎝, 길이 17.5㎝, 밑지름 5.5㎝의 토기이다. 머리와 꼬리는 용 모양이.. *서울/국보,보물 2016.09.02
용산 백자 청화칠보난초문 병(보물1058호)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촬영한 백자 청화칠보난초문 병. 고유명사인 '백자 청화칠보난초문 병'으로 표기했으면.... 조선 후기에 만들어진 작품으로 높이 21.1㎝, 아가리 지름 3.6㎝, 밑지름 7.8㎝의 크기이다. 8각의 항아리 몸체 위에 목이 긴 병이 얹혀 있는 일종의 표주박형의 병으로 조선 후.. *서울/국보,보물 2016.09.02
용산 고대 그리스 청동 투구(보물904호) 이 손기정 투구는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에서 우승자에게 주는 부상품이었다. 손기정 선수가 당시 최고 기록(인간 최초로 2시간 20분대)으로 우승했는데 그 당시 전달 받지 못하다가 1986년 수여 받았다. 손선생은 우리 민족의 것이라고 국립중앙박물관에 기증하였다. 아쉬운점은 가.. *서울/국보,보물 2015.0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