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평대리 비자나무 숲(천연기념물374호) 전에 가본 비자림(http://blog.daum.net/dbsqkqh/201). 퇴직자 연수차 머물렀던 제주 아스타호텔에서 천연기념물374호인 평대리 비자나무숲에 가려고 준비중이다. 주차장에 도착했다. 입장료는 성인 3,000원, 청소년 군경, 어린이는 1,500원이다. 800살 넘은 새천년 비자나무. 비자나무 사랑나무 벼락 .. *제주/천연기념물 2018.11.21
제주 도련동 귤나무류(천연기념물523호) 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20호인 제주 도련귤나무(http://blog.daum.net/dbsqkqh/4062)는 천연기념물로 승격되었답니다. 본인은 다른 나무들인 줄 알고 있었는데.... 4종류 6그루라 했는데 주변이 풀숲이고 밭이라 몇 그루만 사진촬영하였다. 삼국시대 이전부터 제주에서 재배되어 온 제주 귤의 원형을.. *제주/천연기념물 2013.05.22
제주 토끼섬 문주란 자생지(천연기념물19호) 문주란은 일본·중국·인도·말레이시아·우리나라 등에 분포하고 있다. 연평균 온도가 15℃, 최저온도가 -3.5℃ 이상인 환경에서 자라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의 토끼섬에서만 자라고 있다. 꽃은 흰색으로 7∼9월에 피는데, 이 꽃이 활짝 피는 것은 밤중이며 향기가 강하게 난.. *제주/천연기념물 2013.05.14
제주 선흘리 거문오름(천연기념물 444호)3 제주 선흘리 거문오름은 제주도에서 분포하는 368개의 기생화산 중의 하나이다. 제주도 동북사면 해발 400m에 위치한 이 오름은 주변에 수많은 동굴들이 집중 분포하는 곳이며, 이 오름이 중요한 이유는 이 화산체로부터 흘러나온 용암류가 지형경사를 따라 북동쪽의 방향으로 해안선까지.. *제주/천연기념물 2013.05.13
제주 선흘리 거문오름(천연기념물 444호)2 제주 선흘리 거문오름은 제주도에서 분포하는 368개의 기생화산 중의 하나이다. 제주도 동북사면 해발 400m에 위치한 이 오름은 주변에 수많은 동굴들이 집중 분포하는 곳이며, 이 오름이 중요한 이유는 이 화산체로부터 흘러나온 용암류가 지형경사를 따라 북동쪽의 방향으로 해안선까지.. *제주/천연기념물 2013.05.13
제주 선흘리 거문오름(천연기념물 444호)1 제주 선흘리 거문오름은 제주도에서 분포하는 368개의 기생화산 중의 하나이다. 제주도 동북사면 해발 400m에 위치한 이 오름은 주변에 수많은 동굴들이 집중 분포하는 곳이며, 이 오름이 중요한 이유는 이 화산체로부터 흘러나온 용암류가 지형경사를 따라 북동쪽의 방향으로 해안선까지.. *제주/천연기념물 2013.05.13
제주 산천단 곰솔 군(천연기념물160호) 주소는 제주시 아라1동 392-2로 찾아 가면 대략 맞을 것이다.제주시청 옆 1131번 도로를 따라 한라산 방향으로 가다보면 제주의료원 가기 전 오른쪽에 있다. 이곳에는 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67호인 제주 한라산신제단(http://blog.daum.net/dbsqkqh/2873)이 있다. 가운데 하얀 팻말이 있는 곳이다. 곰.. *제주/천연기념물 2013.04.25
제주 수산리 곰솔(천연기념물441호) 곰솔은 나무껍질이 검기 때문에 흑송(黑松)이라 하기도 하며, 바닷가에 많이 자라므로 해송(海松)으로 불리기도 한다. 제주 수산리 곰솔은 북제주군 애월읍 수산리 입구 수산봉 남쪽 저수지 옆에 위치하며 수고 12.5m, 수관폭 24.5m, 수령은 약 400년 정도로 추정된다. 이 곰솔은 마을의 수호.. *제주/천연기념물 2013.04.16
제주 월령리 선인장군락(천연기념물 429호) 선인장이라고 하면 뜨거운 사막을 연상하게 되는데, 사막에 자생하는 것 외에도 종류가 다양하다. 대부분의 선인장은 잎 대신에 가시가 나 있으며, 줄기는 둥근모양, 원통모양 등 보통 식물에서는 보이지 않는 독특한 형태를 이루고 있다. 조직 내에 많은 수분을 오랫동안 보유할 수 있도.. *제주/천연기념물 2013.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