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 영규대사비(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56호) 지나는 길에 다시 찾아간 영규대사비. 전에는 비가 누각 밖에 있어 민원을(http://blog.daum.net/dbsqkqh/2928) 했었는데 정비되었네요. 안내판도 다시 세웠고 영규대사비도 누각 안으로 이전했네요. *충청-대전/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9.06.29
공주소학리효자향덕비(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99호) 한채의 비각 안에 나란히 서 있는 2기의 비로, 향덕의 효행을 기리고 있다. 향덕은 신라 경덕왕대의 사람으로, 흉년과 전염병으로 인해 부모님이 가난과 병에 시달리자 자신의 살을 베어 봉양하는 등 지극정성으로 모셨다. 왕이 그의 효행을 듣고 벼 300석과 집 한채, 토지를 내려 주었으며.. *충청-대전/유형문화재,기념물 2019.06.29
공주 장선리 유적(사적433호) 공주 장선리 유적입구에 이정표를 세웠네요. 여기는 고향과 가까워 1년에 여러번 지나가는 곳이다. 찾아가기는 쉽지 않아요. 자세한 내용은 http://blog.daum.net/dbsqkqh/1519를 참고 하세요. *충청-대전/명승, 사적 2019.06.29
공주 삼은각(충청남도 문화재자료59호) 삼은각은 숙모전과 동계사 사이에 있다. 1. 동학사 대웅전 2. 숙모전-다음지도에 삼은각이라고 안내됨 3. 삼은각 4. 삼성각-다음지도에는 초혼각지로 안내됨 5. 삼층석탑 고려 때 절의를 지킨 포은 정몽주·목은 이색·야은 길재 등 삼은(三隱)의 위패를 모신 건물이다. 정몽주는 고려의 문.. *충청-대전/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4.11.12
공주 계룡산초혼각지(충청남도 기념물18호) 문화재청 내용으로 봐서 숙모전 일원이 계룡산초혼각지로 추측된다. 정면에 보이는 건물이 숙모전이다. 1. 동학사 대웅전 2. 숙모전 3. 삼은각 4. 삼성각-다음지도에는 초혼각지로 안내됨 5. 삼층석탑 세조(재위 1455∼1468)가 단종을 폐위할 때 뜻을 굽히지 않고 절의를 지켜 죽어간 사육신 .. *충청-대전/유형문화재,기념물 2014.11.12
공주 동학사삼성각(충청남도 문화재자료57호) 공주 동학사삼성각은 대웅전 옆에 있다. 다음지도에는 대웅전 옆 반대편에 있는 육화료라고 되어 있는데, 삼성각은 반대편에 있는 조그만 건물이다. 1. 동학사 대웅전 2. 숙모전 3. 삼은각 4. 삼성각-다음지도에는 초혼각지로 안내됨 5. 삼층석탑 삼성각 오른쪽에 보이는 건물이 대웅전이다.. *충청-대전/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4.11.12
공주 동학사삼층석탑(충청남도 문화재자료58호) 공주 동학사 대웅전 앞마당에 있는 삼층석탑. 문화재청에는 '탑신부의 3층 몸돌은 없어진 상태이다' 라고 되어 있는데 기단 및 기단 윗돌도 새로 했네요. 다음지도에는 삼층석탑이 대웅전 옆 건물인 육화료 앞마당에 있다고 되어 있다. 동학사 대웅전 앞마당에 있습니다. 1. 동학사 대웅전.. *충청-대전/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4.08.26
공주 공산성(사적12호)4 공주 공산성에 2년만에 다시 올라 본다.(http://blog.daum.net/dbsqkqh/1846) 시간이 없어 금서루로 쌍수정까지 올랐다가 남문인 진남루로 내려왔다. 공주 공산성(사적12호)은 본인이 학교 다닐 때는 산성 공원이라 했고 아침 운동하기 위해 올랐던 곳. 그 때는 산성동 시외버스 터미널 옆으로 진남.. *충청-대전/명승, 사적 2014.01.25
공주 제민천교 영세비(공주 향토유적20호) 공주 제민천교 영세비는 공주 공산성 금서루 입구에 있다. 1817년 제민천이 대홍수로 범람하고 제민천교가 붕괴되자 이를 재 건립한 사실을 기리는 비석이다. 비문에는 1817년 여름 홍수로 다리와 둑이 무너지자 다리의 복구를 8월에 마치고 하천의 둑을 고쳐 쌓은 일은 이듬해인 1818년 4월.. *충청-대전/기타 2014.01.18
공주 목사김효성의비(충청남도 문화재자료71호) 공주 목사김효성의비는 공주 공산성 금서루에 올라가기 전 오른쪽에 있다. 공산성 매표소 뒤로 금서루 입구 비석군이 보이고, 그 위로 공산성의 서문인 금서루가 보인다. 조선 중기의 문신인 김효성 선생의 비이다. 김효성(1585∼1665)은 광해군 5년(1613) 생원이 되었으며, 이이첨의 사주를 .. *충청-대전/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4.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