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부산-대구 580

상주 옥동서원(사적 532호)

출입문이 잠겨있어 오른쪽으로 돌아가서 담넘어로 촬영했네여. 상주 옥동서원은 고려 말 3명의 국왕과 조선 초 4명의 국왕을 모신 충신으로 조선 초 유학의 기반을 마련하고 유교 숭상 정책을 주도하였던 대표적인 인물인 방촌 황희 (尨村 黃喜, 1363∼1452년)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세운 서원이다. 옥동서원은 1518년 횡당(黌堂)을 세워 황희의 영정을 모신 것이 효시로, 1580년 백옥동 영당(白玉洞 影堂)이 건립되면서 황희를 배향(配享, 신주를 모심)하였다. 1714년 서원으로 승격되면서 전식(全湜, 1563~1642년)을 배향하였으며, 1786년 황효헌(黃孝獻, 1491~1532년)과 황뉴(黃紐, 1578~1626년)를 추가로 배향하였다. 1789년에는 조정으로부터 현재의 명칭인 ‘옥동서원’으..

상주 복룡동 유적(사적477호)

유적이 어린이놀이터 테마숲 안에 있는줄 알았다. 지나는 주민께 물어보니 반대편 공원에 있단다. 반대편 공원이다. 지나는 주민에게 유적을 물으니 모른단다. 길가에 안내판이 있다. 「상주복룡동유적」은 통일신라시대부터 조선시대의 생활유구가 전 지역에 분포하고 있어 상주시 고대도시의 성격을 파악할 수 있으며 서민생활상을 복원, 연구하는데 역사적 가치가 있는 매우 중요한 생활유적이다. 상주복룡동유적지는 2004년 대한주택공사 등에서 택지개발하기 위하여 발굴조사를 실시한 결과, 통일신라시대부터 조선시대의 건물지, 연못, 수혈유구(竪穴遺構), 구상유구(溝狀遺構) 등과 도기류, 와·전류, 자기류 등 많은 유물이 출토되었다. 특히, 건물지와 우물 등 생활유구 들은 상주읍성지의 동편 외곽에 거주한 서민들의 생활상을 알 수..

상주 복용동 석조여래좌상(보물119호)

왕산 정상인 장원봉 상주 왕산역사공원내에 있는 백우정. 채색이 틋이하네여. 석불이 위치한 곳은 상주의 명산으로 알려진 왕산의 동쪽 중간쯤이다. 이 석조여래좌상이 위치해 있던 곳은 상주시 복룡동 358번지였으나, 1975년 10월 현재의 자리로 옮겨졌다. 콧날이 약간 손상된 얼굴은 둥글고 풍만한데, 가늘게 뜬 눈, 작고 도톰한 입술 등에서 인간적이면서도 차분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어깨는 현저히 좁아졌고, 오른손은 없어졌지만 두 손이 아래위로 겹쳐진 모습으로 보아, 왼손 검지를 오른손으로 감싸고 있는 손모양으로 생각된다. 몸 전체를 두껍게 감싼 옷은 양 어깨에서 부채꼴 모양을 이루며 좌우로 대칭된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평행한 옷주름의 표현은 부드러우면서도 형식적으로 처리된 모습이다. 이 불상은 전반적..

상주향교 대성전‧동무‧서무(보물)

동무 서무 2020.12.28에 보물로 되었는디 아직도 유형문화재라고 그대로 있네여. 상주향교」는 조선시대 향교의 기능에 따른 건물과 배치구성, 지방행정체계에 대한 설위형식이 지역별로 시기적 변화양상이 있었음을 밝힐 중요한 건축사적 특성을 가진 건물임. 동무․서무는 건축 연혁이 명확하고 조선중기에 중창된 뒤 위치의 변경이 없으며, 대체적으로 당시의 구조양식 등 원형을 잘 간직하고 있음. 특히 정형화되고 엄격한 배치구성이 돋보이며, 문묘 다음으로 큰 규모이며, 경사 지형을 고려한 탁월한 입면구성을 갖추고 있음.(출처 : 문화재청)

울산박물관

울산 태화사지 십이지상 사리탑(보물 제441호, https://blog.daum.net/dbsqkqh/5820) 이종주 고신왕지 및 이임 무과홍패(보물 제1006호, https://blog.daum.net/dbsqkqh/5822) 울산 부북일기(울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4호, https://blog.daum.net/dbsqkqh/5823) 울산부선생안(울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8호, https://blog.daum.net/dbsqkqh/5824) 동래부순절도(울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30호) 울산 보부상단 문헌자료(울산광역시 민속문화재 제1호, https://blog.daum.net/dbsqkqh/5821)

울산 동래부순절도(울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30호)

1592년(선조25년) 4월 15일 동래성에서 왜군의 침략을 받아 싸우다 순절한 송상현 이하 군민들의 항전 내용을 그린 기록화로, 1834년 4월 동래부 천총이었던 변곤이 그렸다. 화면구성은 중앙에 동래읍성을 두고 성 내부에는 동래부의 군사들을, 외부에는 왜인들의 모습을 성의 윤곽에 따라 배치하여 중앙 중심의 구도를 취하고 있다. 치열하였던 교전의 전말을 한 화폭에 효율적으로 담기 위해 높은 곳에서 아래로 내려다보는 조감법을 사용하였다. 화면의 근경에는 결전을 시작하는 장면이 그려져 있고, 읍성의 동문 위쪽 비로봉 근처로는 왜군이 읍성을 넘어 성내부로 침입하는 장면이 묘사되어 있다. 객사 앞으로는 패전을 직감한 송상현이 조복을 갈아입고 임금님께 하직인사를 하고 있으며, 좌우로 양산군수 조영규와 겸인 신여..

울산부선생안(울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8호)

‘선생안(先生案)’은 조선시대 중앙과 지방의 관서나 해당 관원의 성명·직명·지위와 부임 및 이임일자 등을 기록한 책을 뜻한다. 1598년(선조 31)에 이임한 군수 김태허에서 시작하여 1906년 부임한 군수 김덕한에 이르기까지 309년 동안 울산에 부임한 역대 수령과 재임 시의 좌수․별감 및 호장․기관의 인명을 기록하였다. 대부분 한문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이두로 작성된 부분이 일부 있으며, 특히 19세기에 이르면 이두로 작성된 사례가 증가한다. 책의 크기는 가로 37㎝, 세로 50㎝로 각 면마다 계선을 둘렀다. 『울산부 선생안』은 서두에는 울산의 건치연혁을 기록한 ‘울산부 치적(治蹟)’이 있으며, 그 뒤에는 선생안의 인명을 기록하였다. 인명은 중앙에서 파견된 수령 및 판관, 사족층에서 담당한 좌수․별감,..

울산 부북일기(울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4호)

부북일기는 조선시대 울산에 살았던 울산 박씨 박계숙(朴繼叔, 1569〜1646)과 박취문(朴就文, 1617〜1690) 부자가 남긴 일기이다. 박계숙은 1605년에, 박취문은 1644년에 함경도로 파견되어 약 1년간 군관(軍官)으로 복무하였으며, 그것에 대한 일상생활을 자세히 기록하였다. 책은 1권으로 총 79장이며, 박계숙 일기가 24장, 박취문 일기가 55장으로 크기는 가로19cm, 세로 27cm이다. 이 일기는 조선시대 무관(武官)이 남긴 것이라는 점에서 희소가치가 크며, 아버지와 아들의 양 대에 걸친 일기를 합친 것에서 주목을 끈다. 무엇보다 생활 주변의 자질구레한 것까지도 숨김없이 자세하게 써 놓은 것이 매우 놀랍다. 또한 17세기 변방지역의 군사 업무의 실상과 군관들의 생활상을 살펴보는데 도움을..

이종주 고신왕지 및 이임 무과홍패(보물 제1006호)

이종주 종손가에 소장되어 있는 2점의 왕지이다. 이종주는 조선 전기 지방관을 지냈다. 「이종주통정대부지울주사왕지」는 정종 1년(1399) 1월 26일에 이종주에게 관직을 제수하는 사령왕지이다. 이 사령왕지는 총 4행으로 초서체로 쓰여졌고, 년월 위에 ‘조선왕보’라고 도장이 찍혀 있다. 이 문서는 조선 전기의 관제 및 인사행정의 변천을 살필 수 있는 자료이다. 「이임무과급제왕지」는 세종 17년(1435)에 이종주의 손자 이임에게 발급된 무과급제를 인정하는 홍패왕지이다. 총 5행에 걸쳐 초서체로 쓰여졌고, 년월 위에 ‘국왕신보’라고 도장이 찍혀있다. 조선 전기 관제 및 과거제도 연구와 새보(璽寶:임금의 도장)사용의 변천 과정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출처 : 문화재청)

울산 보부상단 문헌자료(울산광역시 민속문화재 제1호)

『경상남도 울산군 우지회 천금록(慶尙南道 蔚山郡 右支會 千金錄)』은 울산을 중심으로 병영, 남창, 목도, 대현, 방어진, 서생지역 일대에서 활동했던 보부상 조직의 지역별 임원 명단이다. 1899년부터 1915년까지 기록되어 있으며, 앞부분에는 1900년(광무 4)에 작성된 발기취지문과 회칙이 함께 수록되어 있다. 규격은 가로 27.7㎝, 세로 44.8㎝이다. 『상무우단장정(商務右團章程)』은 1908년(융희 2)에 작성되었으며, 동아개진교육회의 상무과(商務課) 세칙이 수록되어 있다. 규격은 가로 24㎝, 세로 34㎝이다. 이 문헌들은 한말에서 일제강점기 초기 울산지역의 상거래 실태와 상인 조직의 실상을 밝힐 수 있는 중요한 지역사 자료이다. 이것을 통해 한말 보부상의 활동, 정부 및 지방관의 상업 문제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