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인천/기타

용인 홍계희 묘(용인 향토유적37호)

천지연미소바위 2012. 2. 15. 22:13

  홍계희(洪啓禧)의 묘소는 모현면 일산리 개일마을에 있다. 묘역은 약 80평으로, 묘앞에는 상석, 묘비(墓碑), 석등(石燈)이 있다. 그리고 좌우에는 양석(羊石), 망주석, 문인석 등의 석물이 배치되어 있다. 묘비는 영조 48년(1772)에 건립된 것이다. 묘비는 팔작지붕의 개석이 있으며, 크기는 비신(碑身)의 높이 150㎝, 폭 57㎝, 두께 27㎝이고, 대석은 높이 52㎝, 폭 110㎝, 두께 80㎝이다. 홍계희(1703-1771)는 조선 영조 때의 문신으로 자는 순보(純甫), 호는 담와(淡窩), 본관은 남양(南陽)이다.

  영조 13년(1373) 별시문과(別試文科)에 장원한 후 정언(正言), 수찬(修撰)을 거쳐 1742년 북도(北道) 감진어사(監賑御使)로 나가 공을 세웠고, 이듬해 북도 별견어사(別遣御使)를 역임했다. 이후 통신사(通信使)로 일본에 다녀와 충청도 관찰사, 병조판서에 올라 균역법(均役法)을 실시 하는데 힘썼다. 그 후 이조판서, 한성부 판윤(漢城府 判尹)을 거쳐 편집 당상(編輯堂上)으로『열성지(列聖誌)』를 증보하는 한편, 왕명으로『해동악(海東樂)』을 지었다. 관직이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로 봉조하(奉朝賀)에 이르렀다. 글씨를 잘 썼으며, 시호는 문간(文簡)이다. 저서로『삼운성휘(三韻聲彙)』『준천사실(濬川事實)』『균역사실(均役事實)』『경세지장(經世指掌)』『국조상례보편(國朝喪禮補編)』『사곡록(寺谷錄)』등이 있다.(출처 : 용인시청)

 

  모현면 매산리 사거리에서 북쪽으로(에버랜드 반대쪽) 1.9km 정도 가면 골프 연습장이 나오는데 묘소는 직전 왼쪽에 있다.

 

  

 

골프연습장 아래에 있는 전봇대 옆에 왼쪽으로 가라는 안내판이 있는데 가다 보면 시골 골목길이라 좁다.

 

 

 

 

 

용인시 모현면에 다음과 같은 분들이 잠들어 있어 살아서 진천 죽어서 용인이라는 말이 있지 않나 한다.

-용인 정몽주선생묘(경기도 기념물1, http://blog.daum.net/dbsqkqh/1610)

-용인 저헌 이석형선생묘(경기도 기념물171, http://blog.daum.net/dbsqkqh/1603)

-용인 오윤겸선생묘(경기도 기념물104, http://blog.daum.net/dbsqkqh/1588)

-용인 오달제선생 묘 및 대낭장비(용인 향토유적3, http://blog.daum.net/dbsqkqh/1609)

-용인 남구만묘(용인 향토유적5, http://blog.daum.net/dbsqkqh/2661)

-용인 오명항선생 묘(용인 향토유적12, http://blog.daum.net/dbsqkqh/1831)

-용인 이일장군 묘(용인 향토유적 21, http://blog.daum.net/dbsqkqh/1227)

-용인 오희문묘(용인 향토유적34, http://blog.daum.net/dbsqkqh/1587)

-용인 홍계희 묘(용인 향토유적37, http://blog.daum.net/dbsqkqh/1830)

-용인 이사위묘(용인 향토유적63, http://blog.daum.net/dbsqkqh/1228)

 

또 가까운 곳에 이런 분들도 잠들어 있다.

-용인 채제공선생 묘(경기도 기념물17, http://blog.daum.net/dbsqkqh/1225)

-용인 이애-경신공주묘(용인 향토유적32, http://blog.daum.net/dbsqkqh/1825)

-용인 정윤복-정호선 묘(용인 향토유적47, http://blog.daum.net/dbsqkqh/1828)

-용인 이백지 묘(용인 향토유적57, http://blog.daum.net/dbsqkqh/1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