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광주/명승, 사적

익산 왕궁리 유적(사적408호)

천지연미소바위 2012. 5. 16. 21:07

왕궁리성지 라고도 부르며 마한의 도읍지설, 백제 무왕의 천도설이나 별도설, 안승의 보덕국설, 후백제 견훤의 도읍설이 전해지는 유적이다. 발굴조사한 결과, 이 유적은 적어도 세 시기(백제 후기∼통일신라 후기)를 지나면서 만들어진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석탑 동쪽으로 30m 지점에서 통일신라시대 것으로 보이는 기와 가마 2기를 발견했다. 특히 탑을 에워싼 주변의 구릉지를 중심으로 직사각형 모양의 평지성으로 생각되는 성곽 유물을 찾았다. 성곽의 모습은 현재 발굴을 통해 점점 드러나고 있다. 또한 성곽 안팎으로 폭이 약 1m정도로 평평한 돌을 깔아 만든 시설이 발견되어 성곽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 이 지역 안에 있는 왕궁리 5층석탑(국보 제289호)과 절터의 배치를 알 수 있게 하는 유물, 바깥쪽을 둘러싸고 있는 직사각형의 성이 발견되어, 백제 후기의 익산 천도설이나 별도설을 뒷받침하는 중요한 유적으로 떠오르고 있다. ※(왕궁리유적 → 익산 왕궁리 유적)으로 명칭변경 되었습니다.(2011.07.28 고시) '74.9.27 도기념물 제1호로 지정된 "모질메산성"에 대하여 '89년 이후 진행되고 있는 발굴조사결과['89.9월-'90.5월(국립문화재연구소), '90.5월 이후-현재(부여문화재연구소)], 경내의 국보 제289호인 왕궁리5층석탑 과 관련된 금당지와 강당지 등 사찰지의 배치를 알 수 있는 유구와 유물, 그리고 동 사찰건물지 외곽을 둘러싸고 있는 장방형 석성(규모 : 남북 495m, 동서 235m, 폭 3m 내외)이 확인 됨에 따라 백제 말기(무왕대)의 익산 천도설(遷都說) 내지는 별도설(別都說)을 뒷받침해주는 중요한 유적이다. "왕궁리성지"라고도 불리우는데 마한의 도읍지설, 백제무왕의 천도설 및 별도설, 안승의 보덕국설, 후백제 견훤의 도읍설 등이 전한다. 문헌상 기록을 보면 삼국사기나 삼국유사 등의 사서에서는 보이지 않으며, 「관세음응험기」에 제석사와 관련된 내용을 언급하면서, 백제 "무강왕"이 이곳「지모밀지(枳慕密地)」에 천도했다고 기록하여 백제말기의 익산천도 또는 별도설을 주장하게 되는 계기가 된 유적이다. '89.9-'90.5(국립문화재연구소), '90.5이후-현재(부여문화재연구소)까지 발굴조사를 실시하여 사찰관련유적 및 성곽유구임을 확인하였다. 조사결과를 살펴보면 현존 5층석탑을 중심으로 1탑 1금당(정면 5칸, 측면 5칸), 1강당(정면 5칸, 측면 5칸) 형식의 사원건축 유구가 확인되었다. 석탑 하부에서 선대 유구(건물지, 목탑지)가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 유적 내에서는 적어도 세 시기(백제말기-통일신라 말기)에 걸쳐 유적이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게 되었다. 석탑 동편 약 30m 지점에서는 통일신라시대에 사용되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기와 가마 2기가 발견되었다. 석탑을 에워싸고 있는 주변의 구릉지를 중심으로 폭이 약 3m에 이르는 통일신라때의 평지성으로 추정되는 성곽유구가 확인되고 있다. 성곽 내,외부에는 폭 약 1m 가량으로 판석을 깔아 만든 부석시설이 발견되어 성곽사 연구에 좋은 자료를 제공해 준다. 성곽은 잘 다듬은 방형의 석재를 이용하여 쌓았으며, 내외벽면의 사이에는 막돌과 흙을 혼합하여 채워 넣는 방법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성벽을 쌓기 위해 그 하부에는 약 6-12단으로 높이 약 60-200cm 가량의 석축을 쌓아 기초시설을 한 후 그 내외부를 토사로 보강하여 견고성을 보장하였다. 현재까지 성벽의 전체 높이를 알려주는 자료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성벽의 두께 등으로 보아 적어도 장정의 키 높이에는 이르렀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성곽의 웅대한 모습은 현재 발굴을 통하여 점점 명확해지고 있는데 그 규모는 남북 약495m, 동서 약235m로 총연장이 거의 1.5km에 달하는 직사각형의 평지성으로 밝혀지고 있다.(출처 : 문화재청)

 

 

 

 

익산 왕궁리 유적 안에 있는 국보289인 익산 왕궁리 석탑(http://blog.daum.net/dbsqkqh/61)

 

 

 

 

 

문화재청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3,04080000,35&queryText=((V_KDCD=13)) <and>(((V_NO >=408)<and>(V_NO <= 408)))

'*전라-광주 > 명승, 사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원 광한루원(명승33호) 1  (0) 2012.06.06
익산 미륵사지(사적150호)  (0) 2012.05.16
담양 소쇄원(명승40호) 2  (0) 2011.11.07
담양 소쇄원(명승40호) 1  (0) 2011.11.07
순천 선암사(사적507호) 5  (0) 2011.0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