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상사 안에 있는 극락전을 향하여 그 오른쪽에 서 있는 탑으로, 수철화상의 사리를 모셔 놓은 사리탑이다. 수철화상은 신라 후기의 승려로, 본래 심원사(深源寺)에 머물다가 후에 실상사에 들어와 이 절의 두번째 창건주가 되었다. 진성여왕 7년(893)에 77세로 입적하니, 왕은 그의 시호를 ‘수철화상’이라 하고, 탑 이름을 ‘능가보월’이라 내리었다. 탑은 신라 석조부도의 전형적인 양식인 8각의 평면을 기본으로 삼아 맨 아래 바닥돌에서 지붕까지 모두 8각을 이루고 있다. 기단(基壇)은 아래받침돌에 구름과 용무늬와 사자가 새겨져 있으나 마멸이 심하다. 윗받침돌에는 솟은 연꽃무늬가 삼중으로 조각되어 둘러져 있다. 8각의 탑몸은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이 새겨져 있고, 각 면에는 문(門) 모양과 사천왕상(四天王像)이 새겨져 있다. 지붕돌은 얇고 경사가 완만하며, 처마부분에는 엷은 곡선을 이루고 서까래를 새겼다. 지붕 경사면에는 기와골을 표시하였고, 그 끝에는 막새기와까지 표현함으로써 목조건축의 지붕 양식을 충실히 모방하였다. 꼭대기에는 몇 층의 단이 있고, 그 위에 원형이 작은 돌에 있을 뿐 모두 없어졌다. 탑 옆에는 탑비가 건립되어 있어서 이 탑의 주인공을 비롯한 여러 관련된 내용을 알 수 있다. 비문에 의하면, 수철화상이 진성여왕 7년(893)에 입적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어, 탑을 세운 시기를 이 즈음으로 추측하고 있다.(출처 : 문화재청)
문화재청에는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로 되어 있는데 현장에는 실상사 수철화상능가보월탑으로 되어 있네요.
문화재청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0330000,35&queryText=((V_KDCD=12)) <and>(((V_NO >=33)<and>(V_NO <= 33)))
남원 실상사(사적309호, https://blog.daum.net/dbsqkqh/2322)에서 다음과 같은 문화재를 보고 왔다.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보물33호, https://blog.daum.net/dbsqkqh/2318)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보물34호, https://blog.daum.net/dbsqkqh/2317)
남원 실상사 석등 (보물35호, https://blog.daum.net/dbsqkqh/2315)
남원 실상사 동서삼층석탑(보물37호, https://blog.daum.net/dbsqkqh/2316)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보물38호, https://blog.daum.net/dbsqkqh/2320)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보물39호, https://blog.daum.net/dbsqkqh/2319)
남원 실상사 철조여래좌상(보물41호, https://blog.daum.net/dbsqkqh/2314)
남원 실상사극락전(전라북도 유형문화재45호, https://blog.daum.net/dbsqkqh/2321)
남원 실상사석장승(중요민속문화재15호, https://blog.daum.net/dbsqkqh/2312)
'*전라-광주 > 국보,보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보물38호) (0) | 2012.06.26 |
---|---|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보물39호) (0) | 2012.06.26 |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보물34호) (0) | 2012.06.26 |
남원 실상사 동서삼층석탑(보물37호) (0) | 2012.06.25 |
남원 실상사 석등 (보물35호) (0) | 2012.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