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인천/국보,보물

안성 칠장사오불회괘불탱(국보296호)

천지연미소바위 2012. 8. 22. 20:19

 괘불이란 절에서 큰 법회나 의식을 행하기 위해 법당 앞뜰에 걸어놓고 예배를 드리는 대형 불교그림이다. 칠장사 괘불은 길이 6.56m, 폭 4.04m의 크기로, 구름을 이용하여 상·중·하 3단으로 구분되었다. 맨 윗부분은 비로자나불을 중심으로 석가불과 노사나불이 좌우에 모셔진 삼신불을 묘사하고 있고, 중간은 약사불과 아미타불을 중심으로 여러 보살들이 있어 삼세불을 표현하였으며, 맨 아래에는 관음보살과 지장보살이 그려져 수미산 정상의 도솔천궁을 표현하였다. 이러한 3단 배치는 예배자들에게 삼신불과 삼세불의 세계를 통해 진리를 깨우치게 하고, 관음보살과 지장보살의 구원으로 도솔천궁에 이를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 괘불의 가장 큰 특징이라 하겠다. 채색은 녹색을 주로 하고 황색과 황토색을 대비시켜 다소 어두워 보이나, 옷 처리를 붉은색으로 하여 경쾌함을 느낄 수 있다. 이 괘불은 조선 인조 6년(1628)에 법형(法?)이 그린것 이다. 괘불에서 보이는 단아하고 세련된 인물의 형태와 짜임새 있는 구도, 섬세한 필치 등은 당대를 대표하는 것으로, 이 작품은 17세기 전반의 불화 연구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구름을 이용하여 화면을 상·중·하 3단으로 구분지은 다음 오불회(五佛會)와 도솔천궁(兜率天宮)을 적절하게 배치한 이 괘불도는 길이가 6.56m로 비록 중간 크기이긴 하지만, 세련된 인물의 형태와 유려한 필선, 화사하면서도 은은한 색채를 사용함으로써 예배자들을 압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조선시대의 불교그림은 단일구도를 이루고 있는데 반하여 이 괘불도에서는 삼신불(三身佛)을 묘사한 상단과 삼세불(三世佛)의 세계인 중단, 수미산 정상의 도솔천궁을 표현한 하단 등 3단구성법을 구사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십대제자와 용왕과 용녀, 팔부신중, 시방제불(十方諸佛)들이 에워싸듯 그려져 있는 상단에는 지권인(智拳印)에 거신형 광배를 갖춘 비로사나불(毘盧舍那佛)을 중심으로 노사나불과 석가불이 배치된 법(法)·보(報)·화(化) 삼신불(三身佛)이 표현되어 있으며, 중단에는 일광(日光)·월광보살(月光菩薩)과 관음(觀音)·세지보살(勢至菩薩)을 협시로 하고 제석(帝釋)·범천(梵天), 사천왕(四天王), 금강역사(金剛力士) 등 여러 성중들을 거느리고 있는 약사불(藥師佛)과 아미타불(阿彌陀佛)을 그려 상단의 석가불과 함께 과거·현재·미래계의 상징인 삼세불(三世佛) 세계가 묘사되어 있다. 그리고 구름속에 솟아있는 수미산 꼭대기의 도솔천궁과 우바이·우바새 등의 대중들이 예배하고 있는 장면을 나타낸 하단부에는 관음보살이 기암괴석에 앉아서 선재동자(善財童子)의 청법(請法)을 받고있는 모습이 좌측(향우(向右))에 묘사되어 있고, 우측(향좌(向左))에는 지옥계의 구세주인 지장보살(地藏菩薩)이 무독귀왕(無毒鬼王)과 도명존자(道明尊者), 판관(判官), 선악동자(善惡童子)를 거느리고 있는 장면이 표현되어 있다. 이처럼 화면을 삼단으로 나누어 각 단의 성격에 맞게끔 인물을 배치하고 있는 것은 예배자들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 즉 삼신불과 삼세불의 세계를 통하여 깨우침의 진리를 터득하고 관음보살과 지장보살의 구원으로 마침내 최상의 세상인 도솔천궁에 이를 수 있다는 의미를 보다 확실하게 보여주는 것으로 이 괘불화의 가장 큰 특징이라 하겠다. 화폭 전면에 걸쳐 펼쳐져 있는 밝은 색조의 구름과 불의(佛衣)의 선명한 홍색으로 경쾌함을 보여주는 이 괘불도는 녹색의 주조색에 황색과 황토색의 대비로 인하여 다소 무거운 느낌이 들긴 하지만, 단아하고 세련된 인물의 형태와 짜임새 있는 구도, 섬세하고 치밀한 필치 등에 있어서 당대를 대표하는 작품으로 조선시대 17세기 전반기의 불화연구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출처 : 문화재청)

 

 

사진출처 : 문화재청

 

 

 

 

 

 

문화재청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1,02960000,31&queryText=((V_KDCD=11)) <and>(((V_NO >=296)<and>(V_NO <= 2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