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문화재, 세계기록유산/마곡사 근대불화를 만나다

공주 마곡사 동제은입사향로(충청남도 유형문화재20호)

천지연미소바위 2012. 10. 17. 21:56

  향로란 절에서 마음의 때를 씻어준다는 의미를 가진 향을 피우는데 사용한 도구이다. 높이 20.2㎝, 입 지름 19.5㎝인 이 향로는 나팔모양의 높은 받침대를 가지고 있다. 입부분은 넓은 테가 있고, 테에는 8개의 구름무늬를 새겼다. 몸통 가운데에는 4곳에 원을 만들고, 그 안에 범자를 써 넣었으며, 나머지 공간에는 덩굴무늬로 채웠다. 몸통 맨 아래에는 굵은 선으로 연꽃잎을 새겼다. 나팔모양의 받침대에는 윗부분에 구름과 엎어놓은 연꽃잎을 두었고, 아래에는 덩굴무늬를 새겼다. 몸통과 받침대는 따로따로 만들어 연결 시킨 것으로, 연결 부위에는 작은 반원 모양의 받침장식이 있다. 몸통 전체에는 무늬를 먼저 새기고, 무늬마다 은을 입혀 넣는 은입사 방법을 사용하여, 화려한 고려시대 향로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고려 후기에 나타나는 양식적 특징을 가지고 있어, 불교 금속 공예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넓은 테두리를 가진 완형(완形)의 몸체와 나팔형으로 확대된 높은 받침대를 갖춘 향로이다. 조동색(鳥銅色)을 띠고 있으며 표면에는 은사(銀絲)를 상감해서 화려한 무늬를 장식하였다. 몸체(노신(盧身))의 무늬는 쌍구식(雙鉤式)의 당초문인데 네곳에 원권(圓圈)을 만들고 그 안에는 범자(梵字)를 하나씩 넣었다. 이 원권 주위에는 여식두문(如식頭文)이 돌려져 있고 또 몸체하부와 받침대 상반부에는 연판문(蓮辦文)이 만들어져 있다. 그 이외는 모두가 비슷한 당초문들을 나타내고 있다.(출처 : 문화재청)

 

 

 

 

 

 

 

문화재청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0200000,34&queryText=((V_KDCD=21)) <and>(((V_NO >=20)<and>(V_NO <= 20)))&maxDocs=15000&docStart=1&docPage=10&canasset=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