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훈민정음(국보70호)-영인본

천지연미소바위 2012. 11. 23. 12:03

  이 책은 새로 창제된 훈민정음을 왕의 명령으로 정인지 등 집현전 학사들이 중심이 되어 세종 28년(1446)에 만든 한문해설서이다. 책이름을 글자이름인 훈민정음과 똑같이 ‘훈민정음’이라고도 하고, 해례가 붙어 있어서 ‘훈민정음 해례본’또는 ‘훈민정음 원본’이라고도 한다. 전권 33장 1책의 목판본이다. 구성을 보면 총 33장 3부로 나누어, 제1부는 훈민정음의 본문을 4장 7면으로 하여 면마다 7행 11자씩, 제2부는 훈민정음해례를 26장 51면 3행으로 하여 면마다 8행 13자씩, 제3부는 정인지의 서문을 3장 6면에 1자 내려싣고, 그 끝에 ‘정통 11년’(1446)이라 명시하고 있다. 『세종실록』에 의하면 훈민정음은 세종 25년(1443)에 왕이 직접 만들었으며, 세종 28년(1446)에 반포한 것으로 되어있는데, 이 책에서 서문과 함께 정인지가 근작(謹作)하였다는 해례를 비로소 알게 되었다. 또한 한글의 제작원리도 확연하게 드러났다. 이 훈민정음(訓民正音)은 현존하는 유일한 판각(板刻) 원본이다. 내용은 총 33장을 3부로 나누어, 제1부는 훈민정음(訓民正音)의 본문을 4장 7면에 면마다 7행 11자씩, 제2부는 훈민정음해례(訓民正音解例)를 26장 51면 3행에 면마다 8행 13자씩, 제3부는 정인지(鄭麟趾)의 서문(序文)을 3장 6면에 1자 내려 싣고, 그 끝에 정통(正統) 11년(1446) 9월 상한(上澣)을 명시하고 있다. 그 해가 바로 세종(世宗) 28년(1446)에 해당한다. 훈민정음(訓民正音)은 '세종실록(世宗實錄)'에 의하면, 세종 25년에 친제(親製)하여 동 28년 9월에 반포한 것으로 되어 있는데, 본서(本書)에서 서문과 함께 역시 정인지(鄭麟趾)가 근작(謹作)하였다는 해례(解例)를 비로소 알게 되었고, 이것에 의하여 한글 제작의 원리도 확실히 알게 되었다. 그리고 한글의 자양(字樣)에 있어서도 제정 당초의 모습을 본서(本書)에서 볼 수 있는 것이다.(출처 : 문화재청)

 

 

 훈민정음 영인본으로 회사명이 대한교과서에서 미래앤으로 바뀐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에 있는 '교과서박물관(http://www.textbookmuseum.com/)'에서 찍은 것이다.

 

 

 

 

 

 

문화재청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1,00700000,11&queryText=(`훈민정음`)<in>z_title&maxDocs=15000&docStart=1&docPage=10&canasset=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