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유형문화재,기념물

제주 상예동지석묘1~3호(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2-27~9호)

천지연미소바위 2013. 3. 6. 14:23

   상예동 지석묘 1호는 남방식 개석식 고인돌 형식이며 축조시기는 대략 기원전 1세기에서 기원 후 1세기경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다른 2기의 고인돌과 10m정도의 간격을 두고 삼각형태로 놓여져 있다. 뚜껑돌 형태는 장타원형이며 뚜껑돌 남쪽은 65cm가 들려져 있고 그 아래에 지석이 둥그렇게 돌아가며 고여져 있다. 장축 310cm, 단축 235cm, 두께 105cm이고 뚜꺼돌 윗면에는 풍요와 다산을 상징하는 5~6개의 성혈이 있다. 고인돌 내부에서는 무문토기편이 수습되었다. 축조시기는 탐라시대전기(AD 1~300)년 경이다.

상예동 지석묘 2호는 상예동 지석묘 1호분 서남향 10m 정도에 자리하고 있는 개석식 고인돌 형식으로 축조시기는 대략 기원전 1세기에서 기원 후 1세기경으로 추정된다. 뚜껑돌 형태는 사다리꼴 모양이며 상석이 지표면에 닿이 있으며 좌우 측면에 치석 흔적이 있다. 동쪽으로 약간 기울어져 있다. 장축 280cm, 단축 220cm, 두께 50cm이며 축조시기는 탐라시대 전기 AD 1~300년경이다.

 

제주도의 고인돌은 한반도와는 달리 청동기시대가 아닌 탐라시대에 만들어진 거석문화유산으로 북방식․남방식․개석식(무지석식)으로 구분된다. 이곳 상예동의 고인돌은 남방식․개석식 고인돌형식이며 축조시기는 대략 기원전 1세에서 기원 후 1세기경으로 추정된다. 상예동고인돌 1~3호는 상예동 1514번지 내 속칭 ?난이머들?에 있으며 3기가 10m 정도의 간격을 두고 삼각 형태로 놓여져 있다. 특히 고인돌 1호는 남방식고인돌의 형식이며, 고인돌 2․3호는 개석식 고인돌 형식이다. 고인돌 1호의 뚜껑돌 형태는 장타원형이며 뚜껑돌 남쪽은 65cm가 들려져 있고 그 아래에 지석이 둥그렇게 돌아가며 고여져 있다. 고인돌 1호의 장축 310cm, 단축 235cm, 두께 105cm이고 뚜껑돌 윗면에는 풍요와 다산을 상징하는 5~6개의 성혈(性穴)이 있다. 고인돌 내부에서는 무문토기편들이 수습되었다. 이 고인돌의 축조시기는 탐라시대 전기(A.D 1~300)년 경이다.

고인돌 2호 : 장축 280cm, 단축 220cm, 두께 50cm

고인돌 3호 : 장축 300cm, 단축 220cm, 두께 70cm

제주도의 고인돌은 한반도와는 달리 청동기시대가 아닌 탐라시대에 만들어진 거석문화유산으로 북방식․남방식․개석식(무지석식)으로 구분된다. 이곳 상예동의 고인돌은 남방식․개석식 고인돌형식이며 축조시기는 대략 기원전 1세에서 기원 후 1세기경으로 추정된다. 상예동고인돌 1~3호는 상예동 1514번지 내 속칭 ?난이머들?에 있으며 3기가 10m 정도의 간격을 두고 삼각 형태로 놓여져 있다. 특히 고인돌 1호는 남방식고인돌의 형식이며, 고인돌 2․3호는 개석식 고인돌 형식이다. 고인돌 1호의 뚜껑돌 형태는 장타원형이며 뚜껑돌 남쪽은 65cm가 들려져 있고 그 아래에 지석이 둥그렇게 돌아가며 고여져 있다. 고인돌 3호의 장축 300cm, 단축 220cm, 두께 70cm이고 뚜껑돌 윗면에는 풍요와 다산을 상징하는 5~6개의 성혈(性穴)이 있다. 고인돌 내부에서는 무문토기편들이 수습되었다. 이 고인돌의 축조시기는 탐라시대 전기(A.D 1~300)년 경이다.(출처 : 문화재청)

 

 

제주 상예동지석묘제1호(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2-27호)

제주 상예동지석묘제2호(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2-28호)

제주 상예동지석묘제3호(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2-29호) 근처까지 갔었는데 찾지 못했다.

 

 

 

 

 

제주 상예동지석묘제1~3호(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2-27~9호) 안내판. 여기서 우회전한다.

 

 

분명히 이 귤밭 안에 있는 것 같은데

 

 

 

 

귤밭 안에도 없고

 

 

눈앞에서 못찾고 뒤돌아 오는 심정이 씁씁하네요.

 

 

 

제주 상예동지석묘1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제주 상예동지석묘2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제주 상예동지석묘2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제주 상예동지석묘3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문화재청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3,00022700,39&queryText=((V_KDCD=23))%20<and>(((V_NO%20>=2)<and>(V_NO%20<=%202)))&maxDocs=15000&docStart=31&docPage=10&canasset=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