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인천/천연기념물, 노거수

포천 한탄강 대교천 현무암 협곡(천연기념물436호)

천지연미소바위 2013. 6. 15. 11:43

  천연기념물436호인 포천 한탄강 대교천 현무암 협곡을 찾아가기에는 쉽지가 않다. 누구는 고석정 고석 주변이라고도 하고, 고석정에서 조금 하류지역에 있는 음식점 궁예도성 근처라고도 하고....하기야 한탄강 협곡이 길으니. 결론부터 말하면 포천 한탄강 대교천 현무암 협곡 주지점은 포천 관인면 냉정리1101와 철원군 동송읍 장흥리 일원이다. 387도로를 타고 관인면소재지에서 고석정 방향으로 약 2.6km 가면 냉정1리와 한탄강 대교천 현무암 협곡에 가는 안내판이 나온다.  

 

 

 

조그만 언덕을 넘어 가자마자 왼쪽으로 가라는 안내판이 있다.

 

 

냉정1리 버스 주차장인데 더 가란다.

 

 

오른쪽에 냉정지를 끼고 직진한다.

 

 

이 마을 입구에서 왼쪽으로 가도 되고 오른쪽으로 가도 되는데 본인은 오른쪽으로 자동차를 몰았다.

 

 

 

직진하라는 안내판이 있다.

 

 

멀리 보이는 비닐하우스를 지나가 보았다.

 

 

시야가 좋지 않았고 안내판도 보이지 않는다.

 

 

할 수 없이 U턴하여 되돌아 오는데 오른쪽에 농로 멀리 안내판이 보인다.

 

 

아무 생각없이 자동차를 몰았다. 결론은 안내판은 맞는데 U턴 장소가 없어 후진으로 나왔다. 

 

 

 

주변에는 시야가 영...

 

 

 

 

나무 사이로 몇장 찍고. 앞에서 말했듯이 후진으로 고생을...

 

 

마을 입구에서 다시 우회전하여 가보았다. 우사가 있고 한탄강 협곡 주변이다.

 

 

 

 

 

협곡사진 출처 : 문화재청

 

 

 

 

 

 

 

포천 한탄강 대교천 현무암 협곡(천연기념물436호, http://blog.daum.net/dbsqkqh/4122)

포천 한탄강 대교천 현무암 협곡(천연기념물436호, http://blog.daum.net/dbsqkqh/4125)

포천 한탄강 현무암 협곡(관인 영로교 근처, http://blog.daum.net/dbsqkqh/4123)

포천 한탄강 멍우리 협곡(명승94호, http://blog.daum.net/dbsqkqh/4124)

철원 한탄강 협곡(고석정, http://blog.daum.net/dbsqkqh/4126)

철원 한탄강 협곡(궁예도성, http://blog.daum.net/dbsqkqh/4127)

 

 

한탄강 팔(8)경

 

이름

위치

특징

비고

1경

대교천 현무암협곡

관인면 냉정리

주상절리의 발달

천연기념물436호

2경

샘소

관인면 냉정리

현무암석벽, 화강암 바위지대

 

3경

화적연

영북면 자인리

화강암이 우뚝 솟은 풍경

명승93호

4경

멍우리 주상절리대

관인면 중리

주상절리 석벽

명승94호

5경

교동 가마소

관인면 중리

용소, 가마소, 폭포

 

6경

비둘기낭

영북면 대회신리

선덕여왕 촬영장소

천연기념물537호

7경

구라이골

창수면 운산리

현무암이 침식되어 형성된 협곡

 

8경

아우라지 베개용암

창수면 신흥리

영평천과 한탄강의 합류지점

천연기념물542호

 

 

  한탄강 연안에는 현무암 평원이 발달하고 있으며, 현무암 평원을 관류하는 한탄강 유로에는 경관이 특이한 현무암 협곡이 형성되어 있다. 철원 대교천 현무암 협곡은 그들 중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서 제4기의 지질과 지형 발달을 이해하는데 학술적으로도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협곡 양측절벽 현무암의 절대연령은 약 27만년 전에 분출한 용암이 최소한 3번의 분출 단위를 보이는 추가령 현무암으로 구성되며, 협곡 곡벽 곳곳에 현무암의 주상절리가 아름답게 분포한다. 주상절리는 지표로 분출한 용암이 냉각될 때 용암이 수축되면서 형성된 육각기둥이다. 이 주상절리는 협곡의 하상뿐만이 아니라 협곡의 양측 절벽에도 발달하며, 국지적으로서는 단순한 수직절리가 발달하기도 한다. 이 현무암 협곡의 총 길이는 약 1.5Km이고 협곡의 깊이는 20∼30m로 경관이 빼어나며 현무암 내에 보존되어 있는 주상절리의 우수한 보존성 등은 제4기 지질을 이해하는데 귀중한 자료를 제공한다.(출처 : 문화재청)

 

 

문화재청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6,04360000,31&fla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