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에 완도향교의 주소가 '완도읍 죽청리 860-1'인데 현장 안내판에는 '완도읍 죽청리 850-1'네요. 현장 안내판이 맞는 듯합니다. 문화재청에 민원했네요.
답변 : [작성자] : 김XX [전화번호] : 061-550-56XX
[답변내용] : 선생님 오류 지적 감사합니다.
문화재청 지정문화재 현황 정정 신청하였읍니다.
감사합니다.
죽청리 마을길로 들어간다.
문화재청에 주소가 '완도읍 죽청리 860-1'로 되어 있어 내비가 이곳으로 안내한다. 완도향교는 '죽청리 850-1'인 나무가 우거진 곳에 있는데.... 되돌아 나가 우회전했다.
이곳에 주차를 하고
골목길로 걸어 올라간다.
향교가 보인다.
처음에 향교를 찾아 들어간 곳이다.
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이다. 완도향교는 광무 1년(1897)에 향토 유사 김광선이 향교 건립을 추진하여 지었다. 그 뒤 여러 번 보수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건물 배치는 전학후묘 형식을 따르고 있다. 3층 계단식으로 맨 아래에는 학생들이 모여 공부하는 강당인 명륜당, 그 다음에 학생의 기숙사인 동재·서재, 맨 위쪽에는 제사를 지내는 공간인 대성전이 있다. 대성전은 앞면 3칸·옆면 3칸 규모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이다. 명륜당은 앞면 4칸·옆면 2칸 규모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으로 지었다. 조선시대에는 나라에서 토지와 노비·책 등을 지원받아 학생을 가르쳤으나, 지금은 교육 기능은 없어지고 제사 기능만 남아 있다.(출처 : 문화재청)
'*전라-광주 > 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완도 신흥사목조약사여래좌상(전라남도 문화재자료213호) (0) | 2013.09.30 |
---|---|
완도객사(전라남도 문화재자료109호) (0) | 2013.09.14 |
청산도 상서마을 옛 담장(등록문화재279호)2 (0) | 2013.09.13 |
청산도 상서마을 옛 담장(등록문화재279호)1 (0) | 2013.09.13 |
완도 읍리지석묘(전라남도 문화재자료116호) (0) | 2013.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