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방광불화엄경은 줄여서 ‘화엄경’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부처와 중생이 둘이 아니라 하나라는 것을 기본사상으로 하고 있다. 화엄종의 근본경전으로 법화경과 함께 한국 불교사상 확립에 크게 영향을 끼친 경전이다. 이 책은 당나라의 삼장반야(三臟般若)가 번역한 화엄경 40권 중 권20에 해당한다. 목판에 새긴 후 닥종이에 찍은 것으로, 병풍처럼 펼쳐서 볼 수 있는 절첩장 형태이며 접었을 때의 크기는 세로 31㎝, 가로 12㎝이다. 검푸른 색의 표지에는 4각의 두 줄 안에 금색으로 제목이 써 있으며, 제목 아래에는 정원본임을 나타내는 ‘貞(정)’자가 적혀 있다. 고려 숙종(재위 1096∼1105)때의 판을 원본으로 하여 이후에 다시 새긴 것으로 보이는 해인사의 판본이며, 찍어낸 시기는 13∼14세기 경으로 추정된다.(출처 : 문화재청)
'*서울 > 국보,보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산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국보83호) (0) | 2017.02.05 |
---|---|
용산 재조본 경률이상 권8(보물1156호) (0) | 2016.09.23 |
용산 불정심관세음보살대다라니경(보물691호) (0) | 2016.09.02 |
용산 도기 서수형 명기 (보물636호) (0) | 2016.09.02 |
용산 백자 청화칠보난초문 병(보물1058호) (0) | 2016.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