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향교는 조선시대 지방의 교육과 문묘제향(文廟祭享)을 위하여 고을마다 세워져서, 중앙에서 훈도(訓導)가 파견되어 지방 중등교육을 담당하던 기관임.
◦ 남포향교는 조선 태종 13년(1413)에 웅천읍 대천리에 건립되었다가, 이어 남포 지역으로 이전되어 몇 번의 이전 끝에 헌종9년(1843)에 현재의 위치로 옮겨왔음.
◦ 향교 건물의 배치는 대성전(大成展)과 명륜당(明倫堂), 서재(西齋)를 갖춘 전학후묘(前學後廟)의 일반적인 향교 배치양식을 따르고 있음.
◦ 본 향교에는 동재(東齋)는 없고 서재(西齋)만 있는데, 이곳은 강학 공간이면서 향교의 관리 기능을 하는 고직사(庫直舍)를 겸하기도 함.(출처 : 문화재청)
'*충청-대전 > 유형문화재,기념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주사지석등(충청남도 유형문화재33호) (0) | 2022.06.14 |
---|---|
보령수부리귀부및이수(충청남도 유형문화재32호) (0) | 2022.06.13 |
남포관아문<진서루.내삼문.외동헌>(충청남도 유형문화재) (0) | 2022.06.13 |
남포읍성(충청남도 기념물10호) (0) | 2022.06.13 |
대천한내돌다리(충청남도 유형문화재139호) (0) | 2022.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