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대전/명승, 사적

보령 성주사지(사적307호)

천지연미소바위 2011. 6. 20. 14:10

 충남 보령 성주사지에는 국보, 보물 등 많은 문화재가 있다. 성주사지는 보령군 성주면소재지에서 성주초등학교가 있는 북동방향으로 800여m를 가면 있다.

 

맨 왼쪽에 보이는 것이 유형문화재

 

 

 

 

 

 

 

 

 

 

 

 

보령 성주산 남쪽 기슭에 있는 9산선문의 하나인 성주사가 있던 자리이다. 백제 법왕 때 처음 지어졌는데 당시에는 오합사(烏合寺)라고 부르다가, 신라 문성왕때 당나라에서 돌아온 낭혜화상이 절을 크게 중창하면서 성주사라고 하였다. 산골에 자리잡고 있는 절이지만 통일신라시대의 다른 절과는 달리 평지에 자리하는 가람의 형식을 택하였다. 절터에는 남에서부터 차례로 중문처, 석등, 5층석탑(보물 제19호), 금당건물과 그뒤에 동서로 나란히 서있는 동삼층석탑, 중앙 3층석탑(보물 제20호), 서 3층석탑(보물 제47호)가 있고 그 뒤에 강당이 자리하고 있다. 최치원의 사산비문 중 하나인 낭혜화상백월보광탑비(국보 제8호)도 절의 북서쪽에 있다. 발굴조사결과 건물의 초석, 통일신라시대의 흙으로 빚은 불상의 머리, 백제·통일신라·고려시대의 기와 등 많은 유물이 출토되었다. 성주사는 당대 최대의 사찰이었으며, 최치원이 쓴 낭혜화상백월보광탑비는 신라 석비 중 가장 큰 작품으로 매우 중요한 학술적 가치를 지닌다. ※(성주사지 → 보령 성주사지)으로 명칭변경 되었습니다.(2011.07.28 고시)(출처 : 문화재청)

 

 

보령  성주사지에는 다음과 같은 문화재가 있다.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국보8, http://blog.daum.net/dbsqkqh/675)

보령 성주사지 오층석탑(보물19, http://blog.daum.net/dbsqkqh/682)

보령 성주사지 중앙 삼층석탑(보물20, http://blog.daum.net/dbsqkqh/678)

보령 성주사지 서 삼층석탑(보물47, http://blog.daum.net/dbsqkqh/679)

성주사지 동 삼층석탑(충청남도 유형문화재26, http://blog.daum.net/dbsqkqh/677)

보령 성주사지 석등(충청남도 유형문화재33, http://blog.daum.net/dbsqkqh/681)

보령 성주사지 석계단(충청남도 문화재자료140, http://blog.daum.net/dbsqkqh/680)

보령 성주사지 석불입상(충청남도 문화재자료373, http://blog.daum.net/dbsqkqh/676)

그런데 같은 모양의 동 삼층석탑은 왜 보물이 아니고 충청남도 유형문화재인지??

 

문화재청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3,03070000,34&queryText=((V_KDCD=13)) <and>(((V_NO >=307)<and>(V_NO <= 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