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대부광산 퇴적암층은 중생대 후백악기(7,000만년 전후)의 응회암질(화산쇄설물) 사암 내지는 이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1999년 대부광산 암석채취 중 초식공룡 케리니키리움 발자국 1족이 발견신고된 이후 총 23개의 공룡발자국 및 식물화석 클라도플레비스(Cladophlebis)가 발견되었다. 이중 보존상태가 양호한 9개는 현재 안산시에 보관중에 있다. 대부광산 퇴적층중 화산폭팔시 퇴적된 입자에 대한 칼륨-아르곤(K-Ar) 연대측정을 실시한 결과 퇴적 시기는 공룡이 번성했던 중생기 후기인 7,000만년 전후이다. 퇴적층을 구성하는 많은 층리의 색깔 및 두께의 변화 등을 고려해 볼 때 이 지역이 당시 호수지역임을 알 수 있다. 특히 대부광산의 절개된 퇴적암층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두껍게 절개되어 있고 제주도에서 볼 수 있는 화산암체(큰딱섬 등)와 공룡 발자국 화석 등이 분포하고 있다. 대부광산 퇴적암층은 서울 근교에서 유일하게 중생대 지질층과 화산암체를 종합적으로 볼 수 있고, 인근 화성의 시화호 공룡알화석지(천연기념물 제414호)와 관련되어 당시의 식생 및 환경을 판단해 볼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하는 중요한 지질층이다.(출처 : 문화재청)
가는 날이 장날이라고 도로 공사중이라 가까이 가지 못하고 멀리서 망원렌즈로 촬영했네요.
문화재청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3,01940000,31&queryText=((V_KDCD=23)) <and>(((V_NO >=194)<and>(V_NO <= 194)))
'*경기-인천 > 유형문화재,기념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주 자운서원 묘정비(경기도 유형문화재77호) (0) | 2011.09.23 |
---|---|
화성 남이장군 묘(경기도 기념물13호) (0) | 2011.08.25 |
화성 남양리 신빈김씨묘역(경기도 기념물153호) 2 (0) | 2011.08.22 |
화성 남양리 신빈김씨묘역(경기도 기념물153호) 1 (0) | 2011.08.22 |
수원 팔달산 지석묘군(경기도 기념물125호) (0) | 2011.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