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안양 삼막사 마애삼존불상(경기도 유형문화재94호)

천지연미소바위 2011. 12. 9. 16:26

삼막사의 칠성각 내에 봉안된 마애불은 암벽을 얕게 파고 조성하여 칠성각이 전실(前室) 역할을 하고 있다. 중앙의 본존불(本尊佛)을 중심으로 좌우에 협시보살(脇侍菩薩)을 거느린 삼존불로 연화좌 위에 앉아 있다. 본존불은 소발(素髮)의 머리에 작은 육계(肉?)가 있고, 전면에는 계주(?珠)가 표현되었다. 방형에 가까운 상호에는 눈두덩이가 부푼 눈, 보수한 삼각형의 짧은 코, 작은 입 등이 묘사되었고 잔잔한 미소를 띤다. 어깨에 닿는 긴 두 귀와 얼굴에 연이어 어깨가 시작되어서 목은 달리 표현되지 않았다. 법의는 통견(通肩)으로 가슴에는 내의의 매듭이 표현되어 있다. 불신(佛身)의 전면에는 두꺼운 옷주름이 표현되었는데, 양 손은 복부에 모아 여의주를 들고 있다. 가부좌를 튼 무릎에는 소략한 의문(衣文)이 표현되었다. 좌우의 보살상 역시 머리에 쓴 관과 가슴에 모은 수인(手印)을 제외하면 본존불과 같은 형상을 보이고 있다. 이 마애불은 전체적인 모습을 볼 때, 얼굴과 당당한 어깨 등 상체의 표현에 치중한 느낌을 주고 있다. 마애불의 하단에는 건륭28년계미8월일화주오심(乾隆二十八年癸未八月日化主悟心)이란 명문이 있어 조선 영조(英祖) 39년(1763)이라는 정확한 조성 연대를 알 수 있다.(출처 : 문화재청)

 

 안양 삼막사 마애삼존불상(경기도 유형문화재94호)은 삼막사에서 더 올라가면 있음. 

 

삼막사에는 다음과 같은 문화재가 있다.

삼막사 마애삼존불상(경기도 유형문화재94, http://blog.daum.net/dbsqkqh/1429)

삼막사 삼층석탑(경기도 유형문화재112, http://blog.daum.net/dbsqkqh/1430)

삼막사사적비(경기도 유형문화재125, http://blog.daum.net/dbsqkqh/1381)

삼막사 명부전(경기도 문화재자료60, http://blog.daum.net/dbsqkqh/1431)

삼막사 여근석(경기도 민속문화재3, http://blog.daum.net/dbsqkqh/464)

삼막사 남근석(경기도 민속문화재3, http://blog.daum.net/dbsqkqh/51)

 

 

 

이 누각안에 안양 삼막사 마애삼존불상이 있고, 앞쪽으로 경기도 민속문화재3호인 남녀근석이 있음.

 

 

 

문화재청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1,00940000,31&queryText=((V_KDCD=21))%20<and>(((V_NO%20>=94)<and>(V_NO%20<=%20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