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용인 오윤겸선생묘(경기도 기념물104호)

천지연미소바위 2011. 12. 26. 16:55

조선 중기의 문신인 추탄 오윤겸(1559∼1636) 선생의 묘이다. 선조 15년(1582)에 사마시에 급제하였으며,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정철의 종사관으로 발탁되었다. 광해군 9년(1617)에는 일본에 가서 임진왜란 때 잡혀갔던 포로 150여 명을 데리고 돌아왔는데, 이때부터 일본과의 수교가 정상화되었다. 1623년 인조반정이 일어나자 대사헌에 임명되고, 이어 이조·형조·예조판서를 역임하였다. 인조 2년(1624) 이괄의 난이 일어나자 왕을 공주까지 호위하였고, 이어 우의정·좌우정을 거쳐 인조 6년(1628) 영의정에 이르렀다. 이때 여러 정치 분쟁을 중재하였으며, 정치혁신을 위한 왕의 각성과 성리학에의 전념을 촉구하였다. 부인 경주 이씨와의 합장묘로 봉분은 2개이고, 묘역은 후손들이 1986년에 새로 단장하면서 봉분 아랫부분에 원형으로 둘레석을 둘렀다. 2개의 묘 사이에는 상석·향로석이 있고, 상석을 중심으로 좌우에는 동자상·망주석·문인석이 각 1쌍씩 배열되어 있다. 왼쪽 묘의 앞에 묘비가 있는데, 비문은 김상헌이 짓고 송준길이 글을 쓴 것으로, 인조 25년(1647)에 세운 것이다.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 활약한 오윤겸(1559∼1636)을 모신 유택이다. 봉분은 쌍분으로 부인 경주이씨(慶州李氏)와의 합장묘이다. 묘역은 후손들이 1986년에 새로 단장하면서 봉분에 원형의 호석(護石)을 둘렀다. 쌍분의 중앙 앞에는 상석과 향로석이 있고, 상석을 중심으로 전방의 좌우에는 동자상·망주석·문인석이 1쌍씩 배열되어 있다. 좌측 봉분의 앞쪽에 묘비가 있는데, 비의 규모는 총 높이가 282㎝로 비교적 대형이며 비문은 김상헌(金尙憲)이 찬(撰)하고 송준길(宋浚吉)이 글을 쓴 것으로 인조 25년(1647)에 건립된 것이다. 오윤겸은 선조 15년(1582)에 사마시(司馬試)에 급제하고, 임진왜란 때 정철(鄭澈)의 종사관(從事官)으로 활약하였다. 광해군(光海君) 9년(1617)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가 되어 회답겸쇄환사(回答兼刷還使)로 일본에 가서 임진왜란 때 잡혀갔던 150명의 포로를 데려왔는데 이 때부터 일본과의 국교가 다시 정상화되었다. 인조반정(仁祖反正)이 일어나자 대사헌(大司憲)에 임명되고, 이어 이조·형조·예조의 판서(判書)를 역임하면서 특히, 북인 남이공(南以恭)의 등용 문제로 서인(西人)이 노서(老西)·소서(少西)로 분열될 때 김상용(金尙容) 등과 함께 노서의 영수가 되어 남인(南人)·북인(北人)의 고른 등용을 주장, 민심의 수습을 꾀하였다. 인조 2년(1624)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나자 왕을 공주까지 호종하였고, 우의정, 좌의정을 거쳐 인조 6년에 영의정에 올랐다. 재상으로 있으면서 노서·소서 간의 대립과 갈등 속에서 중재에 힘썼으며 특히 경연청(經筵廳)에서 정치 혁신을 위한 왕의 각성과 성리학(性理學)에의 전념을 촉구하였다.(출처 : 문화재청)

 

  오윤겸(1559~1636)은 임진왜란에 대한 일기인 쇄미록(보물1096호)를 쓴 오희문의 아들이며 인조때 영의정. 조카인 오달제는 병자호란 때 끝까지 싸울 것을 주장하다 청나라에 끌려가 죽음을 당한 홍익한, 윤집과 함께 삼학사(三學士) 중 한 사람. 오희문 묘(용인시 향토유적34호), 오윤겸 묘(경기도 기념물104호), 오달제 묘(용인시 향토유적3호) 모두 용인시 처인구 모현면 오산리에 있음. 오윤겸 묘는 해주오씨 묘역 중앙에 있고 오희문 묘는 오른쪽 언덕위에 있는데 오달제묘는 죽전-광주간 43번도로 건너편에 있음. 

 

 



1. 삼학사의 한 명인 오달제 묘

2. 오명항 묘

3. 오희문, 오윤겸의 묘소가 있는 해주오씨 묘역

4. 사당



 

오윤겸선생묘에 가는 입구. 근처에 양지요양원이 있다.

 

 

조금만 올라가면 해주오씨 묘역이 있음.

 

 

오른쪽에 훼손되어 있는 묘가 오윤겸선생묘.

 

 

 

붉은 빛을 띠는 왼쪽 홀로 있는 나무 뒤에 있는 묘가 오윤겸선생묘

 

 

2011년 홍수로 몇군데가 훼손 되었네요.

 

 

 

 

 

 

 

 

문화재청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3,01040000,31&queryText=((V_KDCD=23))%20<and>(((V_NO%20>=104)<and>(V_NO%20<=%20104)))

 

 

용인시 모현면에 다음과 같은 분들이 잠들어 있어 살아서 진천 죽어서 용인이라는 말이 있지 않나 한다.

-용인 정몽주선생 묘(경기도 기념물1, http://blog.daum.net/dbsqkqh/1610)

-용인 저헌 이석형선생 묘(경기도 기념물171, http://blog.daum.net/dbsqkqh/1603)

-용인 오윤겸선생 묘(경기도 기념물104, http://blog.daum.net/dbsqkqh/1588)

-용인 오달제선생 묘 및 대낭장비(용인 향토유적3, http://blog.daum.net/dbsqkqh/1609)

-용인 남구만 묘(용인 향토유적5, http://blog.daum.net/dbsqkqh/2661)

-용인 오명항선생 묘(용인 향토유적12, http://blog.daum.net/dbsqkqh/1831)

-용인 이일장군 묘(용인 향토유적 21, http://blog.daum.net/dbsqkqh/1227)

-용인 오희문 묘(용인 향토유적34, http://blog.daum.net/dbsqkqh/1587)

-용인 홍계희 묘(용인 향토유적37, http://blog.daum.net/dbsqkqh/1830)

-용인 이사위 묘(용인 향토유적63, http://blog.daum.net/dbsqkqh/1228)

 

또 가까운 곳에 이런 분들도 잠들어 있다.

-용인 채제공선생 묘(경기도 기념물17, http://blog.daum.net/dbsqkqh/1225)

-용인 이애-경신공주 묘(용인 향토유적32, http://blog.daum.net/dbsqkqh/1825)

-용인 정윤복-정호선 묘(용인 향토유적47, http://blog.daum.net/dbsqkqh/1828)

-용인 이백지 묘(용인 향토유적57, http://blog.daum.net/dbsqkqh/1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