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용인 정몽주선생 묘(경기도 기념물1호)

천지연미소바위 2011. 12. 31. 11:18

  포은 정몽주(鄭夢周, 1337∼1392) 경상도 영천(永川) 생. 모친 난초 화분을 떨어뜨리는 꿈을 꾸고 낳아 이름이 몽란(夢蘭). 포은이 어릴 적에 부친이 용 한 마리가 마당의 배나무에 기어 올라가는 꿈을 꾸고 깨어보니 그곳에 몽란이 있어 몽룡(夢龍)으로 고쳤고, 성인이 된 뒤에는 몽주(夢周)로 다시 고쳤다. 

   세종 때 세 번이나 장원 급제한 저헌 이석형(李石亨, 1415∼1477)의 묘(경기도 기념물171호, http://blog.daum.net/dbsqkqh/1603)가 포은의 묘 옆에 위치한 연유는 이런 일화가 있다. 포은의 묘를 영천으로 이장할 때 바람에 날린 명정이 떨어진 곳은 지금 이석형의 묏자리였다. 포은의 증손녀인 이석형의 부인이 이곳이 명당이란 말을 듣고 친정집보다는 시댁 가문을 일으키려고 밤새 이곳에 물을 길어다 부었다. 다음날 포은을 모시려고 보니 물이 가득 차 있어 할 수 없이 옆 언덕에 묘를 썼고, 뒤에 그 자리에는 남편인 이석형을 모셨다고 한다. 그래서 그런지 5대손인 이귀는 인조반정에 성공하여 정사공신1등에 연평부원군이 되고, 6대손은 정사공신 2등인 이시백(李時白, 후일 영의정), 이시방(李時昉, 후일 판의금부사)이다. 이귀의 묘와 신도비(충청남도 유형문화재89호, http://blog.daum.net/dbsqkqh/1612)는 충청남도 공주군 이인면 만수리에 있음.

 

 

 

 

 

 

  재실인 영모재의 위쪽에 두 개의 묘가 있는데, 보이기에 왼쪽 것은 포은의 묘이고, 오른쪽 것은 증손녀 사위인 이석형의 묘이다.

 

 

 

이석형의 묘는 2011년 홍수로 훼손됨. 담장으로 둘러진 묘가 정몽주 묘.

 

 

왼쪽이 정몽주 묘 오른쪽이 이석형 묘

 

 

 

 

 

 

 고려 후기의 충신으로 우리나라 성리학의 기초를 닦은 포은 정몽주(1337∼1392) 선생의 묘소이다. 공민왕 9년(1360) 과거에 장원급제한 후 예문관검열, 예부정랑, 대사성 등의 여러 벼슬에 올랐다. 5부 학당을 세워 후진을 양성했으며, 일본에 가서 외교활동을 펼치기도 하였다. 이성계의 세력이 날로 커지면서 정도전 등이 새 왕조를 세우려 하자 끝까지 고려 왕실을 지키려다가 선죽교에서 피살되었다. 전하는 말에 의하면 선생이 순절한 후 풍덕군에 묘를 썼다가 후에 고향(경상북도 영일과 영천) 중 한곳인 영천으로 이장할 때, 경기도 용인시 수지면 풍덕천리에 이르자 앞의 명정(銘旌:다홍 바탕에 흰 글씨로 죽은 사람의 품계, 관직, 성씨를 기록한 깃발)이 바람에 날아가 지금의 묘소에 떨어져 이곳에 묘를 썼다고 한다. 묘비에는 고려시대의 벼슬만을 쓰고 조선의 시호를 쓰지 않아 두 왕조를 섬기지 않는 뜻을 분명히 하였다. 묘역 입구에는 송시열이 지은 신도비(神道碑:왕이나 고관 등의 평생 업적을 기리기 위해 무덤 근처 길가에 세운 비)가 있는데, 정몽주의 충절과 높은 학식에 대한 내용이 적혀 있다. 이곳은 고려말(高麗末)의 충신(忠臣)이며 동방(東方) 이학(理學)의 시조로 추앙되던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1337∼1392) 선생(先生)의 묘소(墓所)이다. 선생의 자는 달가(達可), 호(號)는 포은, 시호는 문충(文忠)이며 본관(本貫)은 연일(延日)로 정관(鄭瓘)의 아들이다. 공민왕(恭愍王) 9년(1360) 과거에 장원급제후 예문관검열(藝文館檢閱), 예부정랑(禮部正郎), 대사성(大司成), 문하찬성(門下贊成) 등 여러 벼슬에 올랐다. 5부학당(五部學堂)을 세워 후진을 양성했으며, 향교(鄕校)를 세워 유학(儒學)을 진흥하고 우리나라 성리학(性理學)의 기초를 세웠으며, 한편으로는 일본(日本)에 가서 왜구(倭寇)를 금지(禁止)할 것을 교섭하는 등 외교활동도 하였다. 이성계(李成桂)의 세력이 날로 커져 정도전(鄭道傳) 등이 그를 왕(王)으로 추대하려 하자 끝까지 고려왕실(高麗王室)을 지키려 하다가 선죽교(善竹橋)에서 피살되었다. 전설에 의하면 선생이 순절(殉節)하신 뒤 풍덕군(豊德郡)에 묘를 썼다가 후에 고향(경상북도 영일과 영천) 중 한 곳인 영천(永川)으로 천묘할 때 면례행렬(緬禮行列)이 용인군(龍仁郡) 수지면(水持面) 경계에 이르자 앞에 세웠던 명정(銘旌)이 바람에 날아가 이곳 현 묘소 위치에 떨어져 이곳에 안치했다고 한다. 후에 영의정(領議政)에 증직(贈職)되고 시호(諡號)가 내려졌다. 나라를 향한 일편단심(一片丹心)의 애국충절(愛國忠節)은 지금도 생생하며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 산 교훈이 된다.(출처 : 문화재청)

 

 

문화재청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3,00010000,31&queryText=(`정몽주`)<in>z_title

 

 

 용인시 모현면에 다음과 같은 분들이 잠들어 있어 ‘생거진천 사거용인이라는 말이 있지 않나 한다.

1

고기 이종무장군묘(경기도 기념물25, http://blog.daum.net/dbsqkqh/5038, 대마도 정벌)

2

공세 죽정 최유경묘역(경기도 문화재자료120, http://blog.daum.net/dbsqkqh/4192)

3

남사 심대장군묘(경기도 기념물3, http://blog.daum.net/dbsqkqh/4198)

4

마북 민영환선생 묘(경기도 기념물18, http://blog.daum.net/dbsqkqh/2604)

5

모현 남구만 (용인 향토유적5, http://blog.daum.net/dbsqkqh/2661)

6

모현 오달제선생 묘 및 대낭장비(용인 향토유적3, http://blog.daum.net/dbsqkqh/1609,

  오윤겸 조카, 홍익한, 윤집과 함께 삼학사-병자호란)

7

모현 오명항선생 묘(용인 향토유적12, http://blog.daum.net/dbsqkqh/1831)

8

모현 오희문 묘(용인 향토유적34, http://blog.daum.net/dbsqkqh/1587, 쇄미록 저자)

9

모현 이사위 묘(용인 향토유적 63 , 이중인 아들 , http://blog.daum.net/dbsqkqh/1228)

10

모현 이일장군 묘(용인 향토유적 21 , 이백지의 7 대손 , http://blog.daum.net/dbsqkqh/1227)

11

모현 저헌 이석형선생묘(경기도 기념물171, http://blog.daum.net/dbsqkqh/1603,

 정몽주의 증손녀 사위)

12

모현 추탄 오윤겸선생묘(경기도 기념물104, http://blog.daum.net/dbsqkqh/1588,

 오희문 아들)

13

모현 포은 정몽주선생 묘(경기도 기념물1, http://blog.daum.net/dbsqkqh/1610)

14

모현 홍계희 묘(용인 향토유적37, http://blog.daum.net/dbsqkqh/1830)

15

백암 유형원선생 묘(경기도 기념물32, http://blog.daum.net/dbsqkqh/5245)

16

상현 문정공 조광조 묘 및 신도비(경기도 기념물169, http://blog.daum.net/dbsqkqh/616)

17

양지 공안공 정옥형·충정공 정응두 신도비 및 묘역(경기도 문화재자료91, http://blog.daum.net/dbsqkqh/5262)

18

역북 번암 채제공선생 묘(경기도 기념물17, http://blog.daum.net/dbsqkqh/1225)

19

영덕 이중인묘(용인 향토유적 60 , 용인이씨 중시조, 고려 72 , http://blog.daum.net/dbsqkqh/5080)

20

원삼 홍길동전의 허균 묘역(http://blog.daum.net/dbsqkqh/5259)

21

이동 국은 이한응 열사 묘(용인 향토문화재49, http://blog.daum.net/dbsqkqh/5599)

22

이동 전 김대중 대통령 부모의 묘소(http://blog.daum.net/dbsqkqh/5431)

23

이동 조선의 마지막 상선 강석호 (현재의 대통령비서실장,

  http://blog.daum.net/dbsqkqh/5363)

24

죽전 문간공 김세필묘역일원(경기도 문화재자료92, http://blog.daum.net/dbsqkqh/2098)

25

지곡 음애 이자묘역(경기도 기념물172, http://blog.daum.net/dbsqkqh/4190)

26

포곡 이백지 묘(용인 향토유적57, http://blog.daum.net/dbsqkqh/1827, 이사위 아들)

27

포곡 이애-경신공주(용인 향토유적32, http://blog.daum.net/dbsqkqh/1825, 이성계 큰딸)

28

포곡 정윤복-정호선 묘(용인 향토유적47, http://blog.daum.net/dbsqkqh/1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