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각 광장 앞 망배단 뒷편에 놓인 다리로, 1953년 한국전쟁 포로 12,773명이 자유를 찾아 돌아왔기 때문에 이름을 이와같이 부르고 있다. 원래 경의선 철교는 상하행 2개의 다리가 있었으나 폭격으로 파괴되어 다리의 기둥만 남아 있던 것을, 전쟁 포로들을 통과시키기 위하여 서쪽 다리 기둥 위에 철교를 복구하고 그 남쪽 끝에 이 임시 다리를 설치했다. 당시에는 포로들이 차량으로 경의선 철교까지 와서는 걸어서 이 다리를 건너왔다고 한다. 다리는 나무를 짜맞추어 만들었는데 특히 힘을 많이 받는 부분은 철재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임시로 설치한 다리이므로 건축적으로 뛰어난 점은 없으나 ‘자유로의 귀환’이라는 상징적 의미를 담고 있다는 점에서 한국 전쟁의 대표적인 유산이라 할 수 있다.(출처 : 문화재청)
망배단 뒤 사람이 서있는 다리가 자유의다리. 멀리 임진각 철교가 보인다.
자유의 다리 마지막. 더 이상 갈수가 없다.
'*경기-인천 > 명승, 사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주 삼릉(사적205호-공릉) (0) | 2012.01.25 |
---|---|
파주 윤관장군묘(사적323호) (0) | 2012.01.24 |
2양주 회암사지(사적128호) 2 (0) | 2012.01.21 |
양주 회암사지(사적128호) 1 (0) | 2012.01.21 |
여주 고달사지(사적382호) (0) | 2011.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