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석사 부근에 매몰되어 있던 것을 발굴하여 모셔놓은 석조여래좌상으로 불상을 안치하는 대좌(臺座)와 온 몸에서 나오는 빛을 형상화한 광배(光背)는 옆에 따로 놓여있다. 얼굴에는 양감이 적절하고 전체적으로 은은한 미소가 감돌고 있다. 신체는 안정감이 있어 보이지만 어깨가 약간 움츠려 들었고, 무릎 폭이 좁아진 점 등에서 통일신라 후기의 특징이 나타난다. 양 어깨를 감싸고 있는 얇은 옷은 자연스러운 주름을 형성하며 양 발 앞에서 부채꼴 모양으로 흘러내리고 있다. 대좌는 8각으로 상대석이 없고 중대석·하대석만 남아 있는데 하대석에는 연꽃무늬가 장식되어 있다. 광배는 머리광배와 몸광배를 구분해서 연꽃무늬와 구름무늬를 표현했으며, 가장자리에는 불꽃무늬를 도드라지게 새겨넣었다. 장식적인 대좌와 광배의 표현으로 미루어 9세기의 석불좌상 양식을 이어받은 귀중한 작품이다.(출처 : 문화재청)
보물681호인 흑석사 석조여래좌상 뒤에 커다란 암반에 새긴 마애삼존불상은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355호
(http://blog.daum.net/dbsqkqh/1888)이다.
석조여래좌상 뒤에 이런 조각상이...
저멀리 석조여래좌상이 보이네요.
'*경상-부산-대구 > 국보,보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주 부석사 조사당(국보19호) (0) | 2012.03.01 |
---|---|
영주 북지리 석조여래좌상(보물220호) (0) | 2012.03.01 |
영주 영주동 석조여래입상(보물60호) (0) | 2012.02.27 |
영주 가흥동 마애여래삼존상 및 여래좌상(보물221호) (0) | 2012.02.25 |
예천 개심사지 오층석탑(보물53호) (0) | 2012.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