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도비란 왕이나 고관 등의 평생업적을 기록하여 그의 묘 남동쪽에 세워두는 비로, 이 비는 조선 전기의 문신인 이의무 선생의 공적을 적고 있다. 이의무(1449∼1507)는 성종 8년(1477) 승문원정자를 시작으로 관직에 올랐으며, 여러 벼슬을 거쳐 성종 18년(1487)에는 성균관전적으로『동국여지승람』의 편찬에 참여하였다. 무오사화로 인해 평안도로 유배되었다가 풀려났으며, 홍주목사로 있을 때에는 선정을 베풀어 표창을 받기도 하였다. 성격이 활달하고, 시를 짓는 능력도 뛰어났으며, 30여 년 동안 조정의 일을 맡아하면서도 늘 청렴하였다. 덕수이씨 묘역 내에 자리잡은 선생의 묘소 앞에 서 있는 비는 낮은 사각받침돌 위로 비몸을 세우고 머릿돌을 올린 모습이다. 머릿돌에는 구름 속을 헤치는 두 마리의 용이 서로 다투는 듯한 장면을 새겨 놓았는데, 매우 섬세하고 아름답다. 중종 35년(1540)에 세운 것으로, 원래는 거북받침돌 위에 세워 놓았으나, 받침돌의 마멸이 심하여 철종 2년(1851) 그의 12대손인 이필신이 받침돌을 새로이 만들어 놓았다. 옛 거북받침돌이 옆에 함께 놓여 있다.(출처 : 문화재청)
민원으로 문화재청에 이런 자세한 설명이 추가되었네요. (2010. 12. 30일 이이무 묘역을 포함하여 도 기념물 제185호 이이무의 묘 및 신도비로 지정함에 따라 문화재자료 제313호에서 해제함 당진에서 성구미로 가는 도로를 따라 가다보면 송산면 소재지에서 조금 더 가면 효자문 고개가 나오는데 효자문 고개를 넘어서 또하나의 야트막한 고개가 있다. 이 고개마루에서 오른쪽으로 산길이 나오는데 그길로 200m쯤 내려가면 송산면 도문리 능안마을 입구에 오른쪽으로 덕수이씨 묘역이 있다. 묘역을 올려다 보면 윗쪽에 공의 묘소가 있고 묘소 앞에 신도비가 서 있다. 비의 두전(頭篆)에는 「증령의정이공신도명(贈領議政李公神道銘)」이라 하였는데 비명의 서(書)는 좌의정 홍언필(洪彦弼)이 지었고 글씨는 성균진사 신효중(申孝仲)이 썼다. 현재는 153×90×57㎝의 화강석 농대석에 비신을 오렸다. 이수와 비신이 한개의 돌로 이루어졌는데 너비는 90㎝, 두께는 27㎝, 이수를 포함한 비신의 높이는 270㎝이고 순수한 비신부분의 높이는 197㎝이다. 바로 옆에는 286×190×70㎝ 크기의 화강석 귀부가 놓여있는데 이것이 원래 이신도비의 귀부이다. 중간에 마손되어 승정후 서기 1851년에 12대손 필신(必信)이 지금의 농대석으로 바꿨다는 기록이 비신면 뒷면에 새겨져 있다. 이비의 이수는 쌍용이 다투는 듯한 형상을 사실적으로 조각하였는데 그솜씨가 정교하고 아름답다. 비를 세운 연대는 가정 19년(서기 1540년)이다.) 그런데 이의무가 이이무로 또다시 오타가...전화로 오타와 지정해제문화재로 등록을 부탁했네요.-- 모두 해결되었네요.
충청남도 기념물185호인 이의무 묘 및 신도비(http://blog.daum.net/dbsqkqh/1942)
'*충청-대전 > 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진 영랑사 범종(충청남도 문화재자료221호) (0) | 2012.03.07 |
---|---|
당진 채운포 석교비(충청남도 문화재자료217호) (0) | 2012.03.07 |
당진 한음선생영정(충청남도 문화재자료298호) (0) | 2012.03.05 |
공주 김종서유허지(충청남도 문화재자료394호) (0) | 2012.03.04 |
공주 구공주읍사무소(등록문화재443호) (0) | 2012.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