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엄사의 부속암자인 구층암에 놓여 있는 석등이다. 등불을 밝혀두는 화사석(火舍石)을 중심으로 아래에는 세 받침돌로 구성된 받침을 두고, 위로는 지붕돌과 머리장식을 얹었다. 8각의 아래받침돌은 각 면에 안상(眼像)을 조각하고, 윗면에 연꽃무늬를 둘렀다.4각의 가운데기둥은 길고 가늘어 보인다. 윗받침돌은 8잎의 연꽃을 둘러 놓았고, 밑면에 1단의 받침을 두었다. 8각을 이루는 화사석은 4곳에 창을 마련해 놓았다. 지붕돌은 여덟 처마가 곡선을 이루고 있으며, 각 귀퉁이가 위로 들려있다.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으로 보이는 둥근 석재가 놓여있다. 전체적으로 8각을 이루고 있고, 안상과 연꽃장식 등의 각 부 양식과 수법으로 볼 때, 통일신라시대에 만든 것으로 추측된다.(출처 : 문화재청)
모과나무 기둥이 특이한 구층암에 눈이 빼앗겨 지나치기 쉬운 석등이다.
'*전라-광주 > 유형문화재,기념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안 적벽강(전라북도 기념물29호) (0) | 2012.10.08 |
---|---|
구례 화엄사보제루(전라북도 유형문화재49호) (0) | 2012.07.04 |
구례 윤문효공묘전석등및석비(전라북도 유형문화재37호) (0) | 2012.07.03 |
남원 실상사위토개량성책(전라북도 유형문화재88호) (0) | 2012.07.01 |
남원 견두산마애여래입상(전라북도 유형문화재199호) (0) | 2012.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