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탑은 간략화된 기단부와 탑신부의 탑신석과 옥개석 등의 양식과 치석 수법을 볼 때 고려시대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며, 기단부 면석부에 위패형 제액을 마련한 점은 드문 예에 속한다.(출처 : 문화재청)
용주사에는 2개의 오층석탑이 있다. 하나는 매표소를 지나 왼편에 있는 효행박물관 앞에 있고, 다른 하나는 천보루 앞에 있는데 이 탑이 경기도 유형문화재212호인 용주사오층석탑으로 착각하기 쉽다. 4.5m의 경기도 유형문화재 212호인 오층석탑은 효행박물관 앞에 있는 것이다. 이 오층석탑은 다른 곳에서 옮겨온 것이라 한다. 우리나라 석탑은 대부분 사찰의 입구나 대웅전 앞에 있는데 이 탑은 용주사 앞쪽의 한편에 있어 다른 곳에서 이전해온 것으로 짐작된다. 지대석의 사방에 안상이 3개씩 있고, 1층 옥신에는 사각형모양의 무늬가 있음. 옥개석 1~3층은 4단, 4층은 2단의 옥개받침이 있음. 5층의 옥개석과 상륜부는 하나의 돌로 간략화. 기단부에 안상이 있고 위로 갈수록 줄어듬이 적은 것으로 보아 고려시대 건립된 석탑으로 추정된다.
'*경기-인천 > 유형문화재,기념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산 궐리사(경기도 기념물147호) (0) | 2012.08.15 |
---|---|
화성 용주사 삼장보살도(경기도 유형문화재225호) (0) | 2012.08.15 |
화성 용주사대웅보전목조삼세불좌상(경기도 유형문화재214호) (0) | 2012.08.02 |
화성 용주사대웅전후불탱화(경기도 유형문화재16호) (0) | 2012.08.02 |
오산금암리지석묘군(경기도 기념물112호) 2 (0) | 2012.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