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경시의 깊은 산골짜기에 서 있는 규모가 작고 아담한 3층 석탑이다. 이 절터의 유래나 규모는 알 수 없으며, 발견 당시 3층 몸돌이 근처에 새로 지은 제실(帝室)의 주춧돌로 사용되고 있는 등 탑의 각 부분이 흩어져 있었다. 1960년 9월에 전부 수습하여 복원하였다. 탑은 1단의 기단(基壇)만을 두어 특이한 형태이며, 그 위로 3층의 탑신(塔身)을 세우고 있다. 기단은 남북면에만 모서리에 기둥을 새겨두었고, 동서면에는 남북면의 사잇돌을 밀어 넣어 맞추었다. 탑신의 몸돌과 지붕돌은 각각 한 돌로 구성하였으며, 몸돌의 네 모서리마다 기둥의 모양을 본떠 새겨두었다. 지붕돌은 네 귀퉁이에서 약간 치켜오르고 있으며, 밑면에는 4단의 받침을 두었다. 머리장식으로는 네모난 노반(露盤:머리장식받침)만 남아있는데, 노반을 아래의 3층 지붕돌과 한 돌로 짠 것이 특이하다. 기단 맨윗돌 위의 괴임대가 생략되고, 기단이 1층으로 처리되는 등 시대적 특색을 보이는 석탑으로, 정치·사회적 혼란이 석탑의 양식에도 반영되었던 통일신라 후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짐작된다. 석탑을 복원하면서 1층 몸돌에서 네모난 형태의 사리를 담는 공간이 발견되었는데, 그 안에 두었을 사리장치는 일제시대에 도둑맞았다. 이 탑은 높이 4.26m의 통일신라시대(統一新羅時代) 석탑으로 허물어졌던 것을 1960년 9월에 복원한 것이다. 단층기단(單層基壇)의 삼층석탑으로 이형(異型)에 속한다. 지대석(地臺石)은 크기가 같지 않은 4매(枚)의 석재(石材)로 구성되었다. 탑신부(塔身部)의 옥신(屋身)과 옥개석(屋蓋石)은 각각 하나의 돌로 되어 있으며 각 층에 우주형(隅柱形)이 모각(模刻)되어 있다. 옥개석 받침은 각층 4단으로 되어 있고, 상륜부(相輪部)는 3층 옥개석 윗면에 붙여 하나의 돌로 된 노반(露盤)이 조각(彫刻)되어 있다.(출처 : 문화재청)
산북면소재지에서 59번 도로를 타고 북서방향으로 약6km쯤 가다 보면 내화리 삼층석탑이 왼쪽에 있다는 안내판이 있다.
밭 가운데 탑이 보인다.
문화재청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0510000,37&queryText=((V_KDCD=12)) <and>(((V_NO >=51)<and>(V_NO <= 51)))&maxDocs=15000&docStart=1&docPage=10&canasset=N
'*경상-부산-대구 > 국보,보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경 대승사 금동관음보살좌상(보물991호) (0) | 2012.12.16 |
---|---|
문경 김룡사 영산회괘불도(보물1640호) (0) | 2012.12.16 |
경주 노서동 금팔찌(보물454호) (0) | 2012.11.29 |
안동 하회 충효당(보물414호) (0) | 2012.11.26 |
합천 반야사지 원경왕사비(보물128호) (0) | 2012.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