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부산-대구/국보,보물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보물171호)

천지연미소바위 2013. 1. 1. 20:02

  봉암사에 있는 정진대사 긍양의 사리탑으로, 경내에서 벗어나 사찰 입구 북쪽 산중턱 가까이 자리하고 있어 경승지를 택해 조성하였음을 알 수 있다. 정진대사(878∼956)는 통일신라 효공왕 원년(897)에 개초사에서 수도한 후, 효공왕 3년(899)에 당에 다녀왔다가 경애왕 원년(924)에 귀속하여, 백암사를 거쳐 봉암사에 와서 이 절을 크게 번영시켰다. 각 부분이 8각을 이루고 있는 이 탑은 탑신(塔身)을 받치는 기단(基壇) 곳곳에 꽃무늬조각과 구름·용·연꽃무늬 등의 불교 세계를 상징하는 각종 장식을 화려하게 두었다. 탑신의 높직한 8각 몸돌은 면마다 모서리에 기둥조각이 있고, 앞쪽면에 자물쇠 모양의 조각이 있을 뿐, 다른 7면은 조각이 없다. 지붕돌은 지나치게 두꺼워 둔중한 느낌을 주며, 꼭대기에는 연꽃 모양의 머리장식만이 남아 있다. 고려 광종 16년(965)에 세워진 탑으로, 양식상 절 안에 남아있는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을 모방하고 있으나 기본구성과 비례감, 조각수법 등이 다소 떨어진다.(출처 : 문화재청)

 

 

  봉암사는 석가탄신일인 음력4월 8일날만 개방하여 들어 갈수 있는 사찰이다. 봉암사 정진대사탑(정진대사원오탑)이 있는 곳은 미개방지역이라 스님께 사정 이야기를 하니 보물172호인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비(정진대사원오탑비) 뒤에 공사하는 인부가 있으니 다시 부탁하란다. 아무리 찾아도 공사하는 사람은 없고 포기하려는데 박사 논문을 쓰기 위해 다시 찾아왔다는 분과 본인이 스님에게 이야기하는 소리를 듣고 따라온 사람이 있다. 세사람이 의기 투합하여 찾아보기로 했다.

 

 

 

  너무나 어렵게 찾았기에 무용담 겸 

다른분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으로 무용담을 적어본다.

세사람이 산속을 돌아다닌 경로를 그려보았다. 덕분에 다른 문화재도 찾아보는 영광을 가졌지만...

  지도에서

1.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비(정진대사원오탑비, 보물172, http://blog.daum.net/dbsqkqh/3438)

2. 함허당득통탑(경상북도 문화재자료134, http://blog.daum.net/dbsqkqh/3435)

3. 봉암사 석종형부도(경상북도 문화재자료135, http://blog.daum.net/dbsqkqh/3437)

3. 환적당지경탑(경상북도 문화재자료133, http://blog.daum.net/dbsqkqh/3436)

4.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정진대사원오탑, 보물171, http://blog.daum.net/dbsqkqh/3263)

 

 

 

 

 

 

본인이 찾은 역방향으로 설명하는 것이 쉽겠다.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비(정진대사원오탑비)는 짓고있는 건물 뒤에 있다. 지금은 완공되었겠지만.

 

 

건물 왼쪽에 두사람이 올라가는 것처럼 언덕 길로 올라간다.

 

 

 

예전에는 올라가는 길이었겠는데 지금은 어렴풋이 보인다.

 

 

 

올라가다 뒤돌아본 모습. 조금만 올라가면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정진대사원오탑)이 있다.

 

 

힘들게 찾았기에 원없이 여러장을 담아왔다.

 

 

 

 

 

 

 

 

 

 

 

 

 

 

 

 

 

 

 

 

 

 

 

 

 

 

 

 

 

 

 

 

 

 

 

 

 

 

 

 

 

 

 

 

 

 

 

 

 

 

 

 

 

 

 

 

 

 

 

 

 

 

문화재청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1710000,37&queryT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