읍성이란 군이나 현의 주민을 보호하고, 군사적·행정적인 기능을 함께 하는 성을 말한다. 조선 태종 16년(1416) 제주도의 행정 구역 정비로 대정현이 설치되고, 2년 뒤에 현감 유신이 백성을 보호하기 위해 읍성을 축조했다. 이 읍성은 산과 계곡을 끼고 있는 일반적인 읍성과는 달리 집과 밭들 사이에 만들어져 있다. 성벽의 둘레는 약 1614m이고, 높이는 약 5.1m이다. 지금은 성벽 안에서 군데군데 옛 모습을 볼 수 있으며, 성문은 동·서·남문 3개만 설치되고 북문은 처음부터 만들지 않았다. 이곳을 중심으로 관아와 창고들이 있었으며, 이 지역 방어를 위하여 10여 곳에 봉수대를 설치해 먼 곳에 외적의 침입을 알렸다.(출처 : 문화재청)
대정성지 안에는 제주보성초등학교, 추사유배지가 있다.
'*제주 > 유형문화재,기념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 동일리지석묘2호(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2-39호) (0) | 2013.04.02 |
---|---|
제주 신평리도요지(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58-3호) (0) | 2013.03.28 |
제주 대정향교(제주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4호) (0) | 2013.03.27 |
제주 하모리지석묘(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2-37호) (0) | 2013.03.14 |
서산사소장목조보살좌상및복장일괄(제주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20호) (0) | 2013.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