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처에 있는 고분 안내. 해남신월리방대형고분은 오른쪽으로 간다.
왼쪽으로 가라고 되어 있다.
전봇대에 왼쪽으로 가라는 안내판이 있다. 길은 비좁다.
더구나 왼쪽과 직진 길은 없다. 해남신월리방대형고분은 우회전하면 있다. 중형차는 조금은 어렵다.
오른쪽 나무 숲에 있다. 고분 앞에서 주차하고 답사 후 U턴해야한다.
이 소나무 숲이 고분이다.
전라남도 해남군 성마산 북쪽 기슭에 있는 무덤으로 1986년 발견되었다. 무덤은 네모꼴로 된 바닥에서 흙으로 쌓아 올린 후, 그 위에 돌을 촘촘히 박아 놓은 방형즙석분(方形葺石墳)이다. 이러한 형태의 무덤이 우리나라 최남단인 이곳에서 발견되었다는 점은 학계에 주목을 받고 있는데 용운리의 장고산에 있는 앞이 네모나고 뒤가 둥근 전방후원형의 무덤과 함께 고대 한·일 무덤문화의 상호영향과 전남지방의 무덤문화를 밝히는데 중요한 유적이다. 성마산(城馬山) 북쪽 기슭에 위치(位置)하고 있는 이 방대형고분은 1986년에 발견되어 처음으로 학계(學界)에 알려지게 되었다. 무덤은 네모꼴로 된 밑바닥에서 흙으로 쌓아올리고, 그 위에 돌로 촘촘히 박아놓아 방형즙석분(方形葺石墳)이라 부르고 있다. 무덤의 외형(外形) 규모는 장변(長邊) 16.5m, 단변(短邊) 14m, 높이 1.7m에 이른다. 이러한 형태의 무덤이 우리나라 최남단인 이곳에서 발견되어 주목받고 있으며, 이웃 용운리(龍雲里)의 장고산(長鼓山)에 있는 전방후원식(前方後圓式) 무덤과 함께 고대(古代) 한일고분문화(韓日古墳文化)의 상호영향(相互影響) 및 전남지방(全南地方) 고분문화(古墳文化)를 구명(究明)할 수 있는 중요한 유적(遺蹟)이다.(출처 : 문화재청)
'*전라-광주 > 유형문화재,기념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남 표충사(전라남도 기념물19호) (0) | 2013.08.31 |
---|---|
해남방산리장고봉고분(전라남도 기념물85호) (0) | 2013.08.29 |
해남용두리고분(전라남도 기념물121호) (0) | 2013.08.28 |
해남 정운충신각(전라남도 기념물76호) (0) | 2013.08.27 |
해남 옥산서실소장품일괄(전라남도 유형문화재181호) (0) | 2013.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