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에 신안 증도 석조소금창고의 주소가 '증도면 증동리 1648'로 되어 있다. 그러나 '증도면 대초리 1648-21'에 위치한다. 엉뚱한 곳에서 찾고 있었네요. 문화재청에 민원했어요.
신안 증도 석조소금창고는 소금박물관으로 변모했습니다.
2014.03.07. 15:59:19
(답변내용) 안녕하십니까. 근대문화재과 김XX입니다. 먼저, 우리의 소중한 문화유산에 대한 깊은 관심과 애정에 감사드립니다.
「신안 증도 석조 소금창고」 주소가 틀렸다는 선생님의 지적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답변드립니다.
선생님께서 찾아가신 「신안 증도 석조 소금창고」는 1953년 염전 조성시 400여 명의 인부들에 의해서 직접 지어진 소금창고로서 문화재청에 의해 등록문화재 제361호로 등록된 문화유산이며, 현재는 건물의 내부를 리모델링하여 소금박물관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우리 청은 2007년도에 「신안 증도 석조 소금창고」를 문화재로 등록할 당시 지적공사의 측량을 거쳐 문화 재의 위치를 확인하고 그에 따른 주소를 국민들에게 안내하였습니다만, 그 이후 신안군 증도면의 행정구역개편과 토지의 분할측량에 따른 지번 변경 사항이 반영되지 못하여 선생님께 불편을 끼쳐 드린 점 죄송하게 생각합니다.
동 문화재의 소재지는 선생님께서 지적하신 ‘신안군 증도면 대초리 1648-21’가 맞으므로 조속히 변경 조치하겠으며, 좋은 지적에 대해 깊이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다른 사항이 있으시면 문화재청 근대문화재과(김XX, 042-481-48XX)로 연락주시면 성실하게 처리하겠습니다.
우리 문화재에 대한 선생님의 관심과 애정에 다시 한번 깊이 감사드리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관심과 협조를 부탁드립니다. 끝.
안내판이 보입니다,
멀리 보이는 조그만 산아래 있어요. 신안 증도 태영염전(등록문화재360호)은 그옆에 있다.
태영염전과 왼쪽 끝에 소금박물관 건물이 조금 보인다.
태영염전에 갔다가 나오면서 본모습.
이 건물은 태평염전 조성 당시 이 지역 석산에서 발파한 돌을 사용하여 건립한 소금보관 창고이다. 80년대 후반 목재 창고가 만들어지면서 자재창고로 사용하였다가 2007년 7월, 석조 소금창고의 바깥쪽과 안쪽을 그대로 활용하면서 일부 개조하여 소금박물관으로 개관하였다. 석조로 만들어진 소금창고 초기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어 염전 역사와 석조건축사에 있어서도 그 의의가 크다.(출처 : 문화재청)
'*전라-광주 > 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안 유산정유적비(전라남도 문화재자료253호) (0) | 2014.03.07 |
---|---|
신안 증도 태평염전(등록문화재360호) (0) | 2014.03.06 |
목포 구 목포공립심상소학교(등록문화재30호) (0) | 2014.03.04 |
신안 지도향교(전라남도 문화재자료111호) (0) | 2014.03.04 |
목포진지(전라남도 문화재자료137호) (0) | 2014.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