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광주/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무안 화설당(전라남도 문화재자료271호)

천지연미소바위 2014. 3. 28. 07:59

화설당은 무안 청천리 팽나무와 개서어나무 숲(천연기념물82, http://blog.daum.net/dbsqkqh/4585)을 지나 목포쪽으로 조금만 가면 오른쪽에 있다.

 

 

 

 

오른쪽에 화설당마을이라는 안내판이 보인다.

 

 

 

화설당회관이다. 무안 화설당은 오른쪽에 있다.

 

 

 

마침 바닥 공사 중이다.

 

 

 

연못이 있는데 물이...

 

 

 

 

 

 

 

 

 

 

  무안 화설당은 유운(柳運, 1580~1643)1610년경에 건립했는데 명칭은 1612년 겨울에 나주 목사 박동렬(1564-1622)이 수은 강항(1567-1618)과 찾아와 겨울인데도 동백꽃이 있어서 화설이라 하고 시 1수를 남긴데서 연유한다. 강항은 화설당기(花雪堂記)를 남기며, 송시열(1607~1689)이 판액을 썼다. 1728, 1869년에 중수하였다. 건축 구성에 있어서도 다른 정자와 평면형식이 구별된다. 즉 완전한자형 으로 좌로부터 방, , 대청 2칸 순으로 꾸며져 있고 전·후로 모두 툇마루를 설치하였다. 특히 좌측 방에는 이 지역 민가에서 볼 수 있는 봉창도 설치하였다. 무안 화설당은 1600년대 건립하여 뒤에 개수한 건물로 강학 교류 공간으로서 중요한 유적지이며 관련인물이나 자료 등에 있어서도 오래된 유서가 있는 역사성과 평면구성상의 특징이 나타나 비교연구 할 수 있는 학술성의 측면에서 가치가 있다.(출처 : 문화재청)

 

문화재청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31,02710000,36&fla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