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리전천왕사지는 국립부여박물관 기획전시관 북측에 있다.
오른쪽 건물이 국립부여박물관이다.
이곳은 절 이름과 유래가 전해지지 않은 백제의 절터이다. 부여읍 구아리에 있는 천왕사터에서 출토된 적이 있는 ‘천왕(天王)’이란 글자를 새긴 기와가 이곳에서도 나와 두 유적을 구분하기 위해 전천왕사터라고 부른다. 이 절터는 상하로 단이 이루어졌는데, 하층기단은 기와를 이용하여 만든 와적기단으로 기단 규모가 동·서 18.04m, 남·북 14.72m이다. 상층기단은 하층의 와적기단을 파괴한 위에 서 있으며 파괴가 심한 편이다. 와적기단의 남쪽에는 석축시설이 있고 그 안에 구덩이에서 연꽃무늬 와당, 백제토기, 치미 등 백제의 유물들이 많이 나왔다. 또한 주변에서 청동제소탑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백제 건축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출처 : 문화재청)
'*충청-대전 > 유형문화재,기념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산 온주아문및동헌(충청남도 유형문화재16호) (0) | 2014.06.20 |
---|---|
부여 사택지적비(충청남도 유형문화재101호) (0) | 2014.06.01 |
부여 용정리소룡골백제건물지(충청남도 기념물86호) (0) | 2014.05.22 |
영동 영국사 석종형승탑(충청북도 유형문화재184호) (0) | 2014.04.27 |
영동 영국사 구형승탑(충청북도 유형문화재185호) (0) | 2014.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