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론부터 말하면 지세포성에는 가보질 못했다. 대우 옥포조선소 안에 있는 거제 아양리삼층석탑(경상남도 문화재자료33호, http://blog.daum.net/dbsqkqh/4801)을 보려고 조선소 직원과 약속이 있어 거제 지세포봉수대(경상남도 기념물242호, http://blog.daum.net/dbsqkqh/4880)를 보고 발길을 돌렸다. 아래 사진 위치까지는 지세포봉수대 가는 방법을 참조하시기를....도로 우측에 있는 하얗게 보이는 경사의 포장길로 간다. 지세포봉수대와 같은 방향이다.
지세포성 안내판이 있다. 조근만 더가면 지세포봉수대가 왼쪽에 있다.
이 사진은 '일운면 지세포리 673-1번지'쯤에 있는 지세포 봉수대 가는 방향 안내판이다. 직접 가지는 않았지만 이 길을 따라 가도 될것 같다. 아님 사진 우측방향에 있는 선창마을의'일운면 지세포리 307번지'쯤 가서 올라 가도 될 듯합니다.
지세포성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경상남도 거제시 일운면 지세포리 선창마을 뒤편에 있는 산성으로, 돌을 쌓아 성벽을 마련하였다. 성의 동쪽은 대부분 잘 보존되어 있지만 그 외의 부분은 논밭의 축대나 가옥의 담장으로 사용되고 있다. 동서남북 사방에 성문을 두고 그 사이사이에 성루(城樓:망을 보기 위하여 성문이나 성벽 위에 높이 세운 건물)를 두었던 것으로 추측한다. 현재 성 안의 바닷가에는 마을이 들어서 있고 그 외는 논밭이며, 성 밖 역시 논밭과 임야로 되어 있다. 조선 인종 때 왜적의 침입을 걱정하여 영남 6부의 25000명을 동원하여 쌓은 성으로, 성 아래 진을 두고 수군(水軍)을 배치하여 방어하였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성은 함락되었고 당시의 만호 강지욱 장군은 옥포성 밖으로 밀려났다가 효종 2년(1651)에 다시 이곳으로 돌아왔다. 현재 성 입구에는 수군 만호의 비석이 남아 있다.(출처 : 문화재청)
'*경상-부산-대구 > 유형문화재,기념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제향교(경상남도 유형문화재206호) (0) | 2014.10.28 |
---|---|
거제 외간리동백나무(경상남도 기념물111호) (0) | 2014.10.28 |
거제 가배량성(경상남도 기념물110호) (0) | 2014.10.20 |
거제 지세포리지석묘(경상남도 기념물 207호) (0) | 2014.10.15 |
거제 옥녀봉 봉수대(경상남도 기념물129호) (0) | 2014.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