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저런/송전중&용인바이오고등학교

송전중학교&용인바이오고등학교의 다가온 가을날 1

천지연미소바위 2015. 9. 8. 09:06

  오늘이 24절기 중 열다섯 번째인 백로이다. 일반적으로 24절기는 음력으로 알지만 절기는 양력이고 1년을 24로 나누면 대략 절기 사이는 15일 정도이다. 사계절은 태양에 의해 생기므로 절기는 태양과 관련이 있다. 낮이 가장 긴 하지는 622일경이고, 밤이 가장 긴 동지는 1222일 경이다. 백로는 처서와 추분 사이에 있으며, 대략 양력으로 9월 8일경이다. 가을이 본격적으로 시작하는 시기이다. 백로는 흰 이슬이라는 뜻으로, 이때쯤이면 밤 기온이 이슬점 이하로 내려가 풀잎이나 물체에 이슬이 맺히는 데서 유래했다. 이 때 장마도 걷히고 쾌청한 날씨가 계속된다. 이 무렵이면 힘든 여름 농사를 다 짓고 추수까지 잠시 일손을 쉬는 때이다.

 

  송전중학교(http://www.songjeon.ms.kr/wah/main/index.htm)&용인바이오고등학교(

http://www.yibio.hs.kr/main.php)의 화창한 가하늘입니다. 하늘 높고 말이 살찐다는 천고마비의 계절에 우리 아들 딸들도 몸과 마음이 함께 살찌고, 송전중학교 야구부가 높은 하늘만큼 발전하는  모습을 바래봅니다.

 

 

 

 

 

 

 

 

 

 

 

 

 

 

 

 

 

 

 

 

 

 

 

 

 

 

 

 

 

 

 

 

 

  24절기

1. 입춘양력 24일경으로 봄이 시작되는 날이다. 가정에서는 입춘대길(立春大吉)’ 등 좋은 글귀를 써붙인다.

2. 우수양력 219일경으로 눈이 비로 변하고 얼음이 녹아 물이 된다는 뜻이다. 겨울에 얼었던 대동강이 녹는 시기.

3. 경칩양력 36일경으로 겨울잠을 자던 개구리가 나온다는 시기.

4. 춘분양력 321일경으로 태양은 적도 위를 수직으로 비추고 낮과 밤의 길이가 같다. 이후에 낮길이가 조금씩 길어진다. 농촌에서는 농사 준비를 한다. 간혹 꽃샘추위가 온다.

5. 청명양력 46일경으로 봄이 되어 나무를 심기에 적당한 시기. 대부분 한식일과 겹친다. 농사를 위해 논밭을 손질하고, 못자리판 만든다.

6. 곡우양력 420일경으로 작물에 싹이 트고 농사가 시작된다. 나무에 물이 가장 많이 오르는 시기이다.

7. 입하양력 55일경으로 여름이 시작되고 농가에서는 일손이 바빠진다.

8. 소만양력 521일경으로 햇볕이 충만하고 만물이 자라서 가득차게 된다는 뜻으로 모내기가 시작된다.

9. 망종양력 66일경으로 모내기가 한창이고 농사일이 가장 바쁜 시기.

10. 하지양력 621일경으로 태양이 가장 높게 있어 북반구에서는 낮시간이 1년중 가장 길고, 일사량과 일사시간도 가장 많다. 장마지기 전에 감자(일명 하지 때 캔다고 하지감자)를 캐는 시기.

11. 소서양력 77일경으로 차츰 더워지며 장마전선 있어 습도가 높고, 비가 많이 오는 시기.

12. 대서양력 723일경으로 대부분 중복과 겹쳐 무더위와 장마전선으로 비가 자주 오는 시기.

13. 입추양력 87일경으로 가을이 시작되어 서늘한 바람이 분다.

14. 처서양력 823일경으로 더위가 멈춘다는 뜻으로 모기 입이 삐뚤어져 못 문다는 시기. 조상의 묘를 찾아가서 벌초하며, 처서가 지나면 아침과 저녁으로 서늘해져 일교차가 심해진다.

15. 백로양력 98일경, 가을 기분이 들기 시작하는데, 이슬 맺힌 것이 하얗게 보인다는 뜻으로 장마가 끝나고 쾌청한 날씨가 계속된다.

16. 추분양력 923일경으로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지며, 어른들 말씀대로 추분이 지나면 점차 밤이 낮보다 노루꼬리만큼 길어진다.

17. 한로양력 108일경으로 추수로 바쁜 시기.

18. 상강양력 1023일경으로 쾌청한 날씨가 계속되나, 밤 기온이 서리가 내릴 정도로 춥다. 추수가 거의 끝난다.

19. 입동양력 117일경으로 겨울이 시작되는 날이다.

20. 소설양력 1122일경으로 땅이 얼기 시작하고 차차 눈이 내리기 시작한다.

21. 대설양력 127일경으로 눈이 많이 내리는 시기. 이날 눈이 많이 내리면 다음해에는 풍년이 든다고 함.

22. 동지양력 1222일경으로 북반구에서는 1년중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이다. 추위도 점차 심해지기 시작함.

23. 소한양력 15일경으로 본격적으로 추워진다. ‘대한이 소한 집에 놀러 갔다가 얼어 죽었다는 옛 말이 있듯이 우리나라에서 1년중 가장 추운 시기.

24. 대한양력 120일경으로 추위가 절정인 시기.

 

단오, 초복, 중복, 말복, 추석 등은 24절기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