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안 내소사영산회괘불탱(보물1268호, http://blog.daum.net/dbsqkqh/2830)
부안 내소사 일원(전라북도 기념물78호, http://blog.daum.net/dbsqkqh/2826)
부안 내소사 설선당과 요사(전라북도 유형문화재125호, http://blog.daum.net/dbsqkqh/2824)
부안 내소사 대웅보전(보물291호, http://blog.daum.net/dbsqkqh/2822)
부안 내소사삼층석탑(전라북도 유형문화재124호, http://blog.daum.net/dbsqkqh/2823)
부안 내소사 동종(보물277호, http://blog.daum.net/dbsqkqh/2722)
부안 내소사 노거수, http://blog.daum.net/dbsqkqh/2825
부안 내소사 대웅보전
행사 때 괘불을 걸어 놓게 해 놓은 영산회괘불탱 괘불대
대웅보전안에 있는 불상. 뒷면 벽에 백의관음보살상이 있다.
백의관음보살상
백제 무왕 34년(633)에 혜구두타(惠丘頭陀)가 창건한 절로 처음에는 소래사(蘇來寺)라 하였다가 내소사로 바뀌었다. 바뀐 까닭은 확실하지 않으며 그 시기만 임진왜란 이후로 추정하고 있다. 경내의 건물로는 대웅보전(보물 제291호)과 설선당, 보종각, 부안군 벽산면의 실상사터에서 옮겨 세운 연래루가 있다. 특히 대웅전은 조선 인조 2년(1633)에 청민대사가 지은 건물로 건축양식이 정교한데 단충과 보상화를 연속적으로 조각한 문을 눈여겨볼 만하다. 그 밖에도 고려시대에 제작된 동종(보물 제277호)과 3층석탑(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24호) 등이 남아있다.(출처 : 문화재청)
'*전라-광주 > 유형문화재,기념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안 매월당 부도(전라북도 유형문화재43호) (0) | 2018.03.01 |
---|---|
무안 백련사지(전라북도 기념물62호) (0) | 2018.03.01 |
부안 내소사 일원(전라북도 기념물78호) (0) | 2016.09.08 |
부안 수성당(전라북도 유형문화재58호) (0) | 2016.07.01 |
무안 남안리 태봉고분군(전라남도 기념물188호) (0) | 2014.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