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을 올라 타거나 달릴 때 발로 디디는 발걸이 부분을 등자라고 한다. 그 중에서 호등(壺鐙)이란 발 딛는 부분을 주머니처럼 넓게하여 쉽게 발을 넣거나 뺄 수 있게 한 것으로 삼국시대 둥근 테를 지닌 고리형의 윤등(輪鐙)에서 발전된 것이다. 이 호등은 높이 14.7㎝, 폭 12.1㎝, 길이 14.9㎝로 말 안장과 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사각형 모양으로 튀어 올라오게 하였고, 아랫부분에는 작은 구멍을 뚫었다. 등자의 표면에는 꽃과 사선·불꽃무늬·물고기 뼈 문양을 정교하게 새겼으며, 그 위에 검정색 옻칠을 하였다. 삼국시대의 등자가 출토되기도 했으나 통일신라 것으로는 유일한 것으로, 일본 정창원에 이것과 유사한 1쌍이 있을 뿐이다. 따라서 그 희귀성과 함께 통일신라 금속 공예의 발전을 연구하는데 학술적 가치가 매우 높은 작품이다.(출처 : 문화재청)
'*경상-부산-대구 > 국보,보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주 고선사지 삼층석탑(국보38호) (0) | 2017.03.25 |
---|---|
경주 도기 기마인물형 뿔잔(국보275호) (0) | 2017.03.25 |
경주 백률사 금동약사여래입상(국보28호) (0) | 2017.03.25 |
경주 임신서기석(보물1411호) (0) | 2017.03.25 |
경주 천마총 금제 허리띠(국보190호) (0) | 2017.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