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미카형 증기기관차 304호(등록문화재414호) 1944년 제작. 이 기관차는 일본에서 제작되고 조선총독부 철도국 경성 공장에서 조립한 탄수차가 뒤에 달린 텐더식 증기기관차로 부산에서 신의주를 비롯한 전국 철도의 주요 간선에서 운행되었다. 1978년 어린이날에 박정희 대통령의 지시로 기차를 볼 수 없는 섬 지역 어린이들을 위해 .. *제주/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3.04.24
제주 모슬봉 일제군사시설(등록문화재314호) 1945년 무렵 건립 이 시설물은 일제 강점기 말기 패전에 직면한 일본군이 만든 군사 시설로 탄약고 또는 발전소로 쓰였던 것으로 추정되며, 최근까지 고구마 저장 창고로 이용되었다. ‘Y’자형 콘크리트 구조로 구축되었고, 공기구멍 15개가 뚫려 있다.(출처 : 문화재청) 제주 모슬봉 일제.. *제주/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3.03.14
남제주 구 대정면 사무소(등록문화재157호) 1955년 건립 이 건물은 대칭형으로 단순하게 구성된 전형적인 소규모 관공서로, 지금은 대정보건소로 사용되고 있다. 외부는 제주의 건축 재료인 현무암을 일정한 규격으로 가공해 쌓았으며, 외벽 모서리에서 벽체를 약간 안쪽으로 기울게 처리하는 등 입면에서 보이는 투박하면서도 단정.. *제주/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3.03.14
남제주 강병대 교회(등록문화재38호) 1952년 건립 이 건물은 한국전쟁 당시 모슬포에 육군 제1훈련소가 정식으로 설치되면서 훈련 장병들의 정신력을 강화하기 위해 훈련소장인 장도영 장군의 지시로 건립된 교회이다. 제주도산 현무암을 사용하여 벽체를 쌓고 목조 트러스 위에 함석지붕을 씌운 형태로 민간 건축 기술자의 .. *제주/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3.03.14
제주 이교동 일제군사시설(등록문화재315호) 1945년 무렵 건립 ‘ㄷ’자형 콘크리트 구조로 구축된 이 시설물은 일제 강점기 당시 일본군 통신 시설로 쓰였을 것으로 추정되며, 광복 이후 한국군 제1훈련소가 탄약고로 사용하였다. 태평양전쟁 말기, 패배에 직면한 일본이 제주도를 저항 기지로 삼았던 침략의 역사를 증언하고 있다.(.. *제주/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3.03.12
제주 모슬포 알뜨르비행장 일제 지하벙커(등록문화재312호) 1945년 무렵 건립 이 시설물은 중국 본토 공략을 위해 1935년 무렵 모슬포에 594,000㎡ 규모로 조성한 비행장을 1945년 무렵에 1,320,000㎡으로 확장하면서 만든 일본 해군 비행장의 부속 시설이다. 콘크리트 구조체를 만들고 위쪽에 돌무더기를 쌓아 동산처럼 만든 다음 나무 등으로 가려 숨겨 조.. *제주/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3.03.12
남제주 비행기 격납고(등록문화재39호) 1937년 건립 이 시설물은 2차 대전 당시 일본군들이 제주도민들을 강제 동원하여 건설한 전투기 격납고이다. 당시 20기가 건설되었지만, 지금은 19기가 원형 그대로 보존되어 있고 1기는 잔해만 남아 있다. 이 유적은 제주도를 일본군의 출격 기지로 건설하려 했음을 보여주는 지상 건축물.. *제주/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3.03.12
제주 모슬포 알뜨르비행장 일제 고사포진지(등록문화재316호) 1945년 무렵 건립 이 시설물은 당시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하게 여겨진 알뜨르 비행장을 보호하기 위한 군사 시설이다. 1945년 무렵에 원형의 콘크리트 구조물로 구축된 고사포 진지로, 5기의 고사포 진지 중 2기는 완공되고, 나머지 3기는 미완공된 상태이다. 일제 강점기의 일본군 군사 시설.. *제주/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3.03.12
제주 송악산 해안 일제 동굴진지(등록문화재313호) 1945년 무렵 건립 이 시설물은 일제강점기 말 패전에 직면한 일본군이 해상으로 들어오는 연합군 함대를 향해 소형 선박을 이용한 자살 폭파 공격을 하기 위해 구축한 군사 시설이다. 그 형태는 ‘一’자형, ‘H’자형, ‘ㄷ’자형 등으로 되어 있으며, 제주도의 남동쪽에 있는 송악산 해.. *제주/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3.03.08
서귀포 천제연 관개수로(등록문화재156호) 1908년 건립 이 시설물은 농업용수가 부족하여 논농사에 부적합한 제주도의 자연환경을 극복하기 위해 천제연 폭포의 낙수가 흐르도록 천연암반 지형을 파서 만든 2km의 장거리 관개수로이다. 이 농업용수 시설로 천제연 일대 231,000㎡의 불모지가 옥답(沃畓)으로 변모하였지만, 시공 과정.. *제주/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2013.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