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돌하르방(제주특별자치도 민속문화재2-25호) 제주특별자치도 민속문화재2호 제주도에 있는 장승의 일종으로, ‘우석목(偶石木)’, ‘무석목’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제주도 사투리로는 ‘돌할아버지’란 뜻인데, 어린아이들이 부르던 이름이 일반적으로 쓰이게 된 것이다. 이 석상들은 성문 앞에 세웠던 것으로, 현재는 제주시내에 .. *제주/중요-시도 민속문화재 2012.10.11
제주 돌하르방(제주특별자치도 민속문화재2-23호) 제주특별자치도 민속문화재2호 제주도에 있는 장승의 일종으로, ‘우석목(偶石木)’, ‘무석목’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제주도 사투리로는 ‘돌할아버지’란 뜻인데, 어린아이들이 부르던 이름이 일반적으로 쓰이게 된 것이다. 이 석상들은 성문 앞에 세웠던 것으로, 현재는 제주시내에 .. *제주/중요-시도 민속문화재 2012.10.11
제주 돌하르방(제주특별자치도 민속문화재2-22호) 정의골 돌하르방 제주도민속자료 제2-22호(동문 북우) 소재지 : 서귀포시 표선면 성읍리 965-1. 외. 도내에 있는 돌하르방은 장승의 일종으로서, ‘우석목’, ‘무석목’ 등으로 불려지다가 1970년대부터 제주어로 ‘돌하르방’이라 불려지기 시작하였다. 제주목(濟州牧)·정의현(旌義縣)·.. *제주/중요-시도 민속문화재 2012.10.11
제주 돌하르방(제주특별자치도 민속문화재2-29호) 제주특별자치도 민속문화재2-29호는 성읍 서문 밖 길건너 왼쪽에 있는데 하르방을 보았을 때 오른쪽에 있는 것이다. 그러나 문화재청이나 현장 안내판에 '서문 : 남좌'로 되어 있는데 무슨 의미가 있는지? 관측자 중심이 아닌 지도상에 놓고 남좌로 한것 같다. 정의골 돌하르방 오른쪽에 .. *제주/중요-시도 민속문화재 2012.10.10
제주 돌하르방(제주특별자치도 민속문화재2-28호) 제주특별자치도 민속문화재2-28호는 성읍 서문 밖 길건너 왼쪽에 있는데 하르방을 보았을 때 왼쪽에 있다. 그런데 현장 안내판이나 문화재청에 '서문 : 남우'로 되어 있다. 무슨 의미가 있는지? 관측자 중심이 아닌 지도상에 놓고 남우로 한것 같다. 정의골 돌하르방 왼쪽에 있는 키가 작은.. *제주/중요-시도 민속문화재 2012.10.10
제주 돌하르방(제주특별자치도 민속문화재2-26호) 제주특별자치도 민속문화재2호 제주도에 있는 장승의 일종으로, ‘우석목(偶石木)’, ‘무석목’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제주도 사투리로는 ‘돌할아버지’란 뜻인데, 어린아이들이 부르던 이름이 일반적으로 쓰이게 된 것이다. 이 석상들은 성문 앞에 세웠던 것으로, 현재는 제주시내에 .. *제주/중요-시도 민속문화재 2012.10.10
제주 돌하르방(제주특별자치도 민속문화재2-27호) 제주특별자치도 민속문화재2-27호는 성읍 서문 밖에 길건너 오른쪽에 있는데 안내판쪽에 있는 것이다. 하르방을 바라 봤을 때 왼쪽에 있다. 문화재청에는 '성읍리 서문 : 북좌'로 되어 있는데 확인하기 쉽지 않다. 정의골 돌하르방 오른쪽에 있는 것이 제주특별자치도 민속문화재2-26호이.. *제주/중요-시도 민속문화재 2012.10.10
제주 돌하르방(제주특별자치도 민속문화재2-10호) 제주특별자치도 있는 하르방이 제주특별자치도 민속문화재2호로 지정되었는데, 현재 제주특별자치도 민속문화재2-45호까지 있다. 제주특별자치도 민속문화재2-10호는 건시문을 바라보고 왼쪽에 위치한다. 바로 옆에는 국기게양대가 있다. 문화재청 : =2)(V_NO%20http://www.cha.go.kr/korea/heritage/se.. *제주/중요-시도 민속문화재 2012.10.10
제주 돌하르방(제주특별자치도 민속문화재2-9호) 제주특별자치도 민속문화재2호 제주도에 있는 장승의 일종으로, ‘우석목(偶石木)’, ‘무석목’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제주도 사투리로는 ‘돌할아버지’란 뜻인데, 어린아이들이 부르던 이름이 일반적으로 쓰이게 된 것이다. 이 석상들은 성문 앞에 세웠던 것으로, 현재는 제주시내에 .. *제주/중요-시도 민속문화재 2012.10.10
제주 돌하르방(제주특별자치도 민속문화재2-8호) 제주특별자치도 민속문화재2호 제주도에 있는 장승의 일종으로, ‘우석목(偶石木)’, ‘무석목’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제주도 사투리로는 ‘돌할아버지’란 뜻인데, 어린아이들이 부르던 이름이 일반적으로 쓰이게 된 것이다. 이 석상들은 성문 앞에 세웠던 것으로, 현재는 제주시내에 .. *제주/중요-시도 민속문화재 2012.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