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수월봉 화산쇄설층(천연기념물513호)1 수월봉은 제주도에 분포하는 여러 오름 중, 성산일출봉, 송악산, 소머리오름 등과 더불어 수성화산활동(水性火山活動)에 의해 형성된 대표적인 화산(응회환)이다. 수월봉의 현재 “지형”은 평범하지만 서쪽 해안절벽을 따라 노출된 화산쇄설암의 노두는 세계적인 수준이며 학술적 가치.. *제주/천연기념물 2013.04.08
제주 차귀도 천연보호구역(천연기념물422호) 차귀도는 죽도와 와도 2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무인도로서 제주도 고산리 해안과 약 2㎞ 떨어져 있다. 차귀도는 제주도에서 쿠로시오 난류의 영향을 가장 먼저 받는 지역으로, 서식하고 있는 동식물이 매우 다양하며 아열대성이 가장 강한 지역으로 5∼10m 수심에는 수 많은 홍조식물이 자.. *제주/천연기념물 2013.04.08
제주 사람발자국과 동물발자국 화석 산지(천연기념물464호) 종 목 : 천연기념물 제464호 명 칭 : 제주 사람발자국과 동물발자국 화석 산지 (濟州 사람발자국과 動物발자국 化石 産地) 분 류 :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지구과학기념물/ 지질지형 수량/면적 : 124,700㎡(지정구역) 지정(등록)일 : 2005.09.08 소 재 지 : 제주 서귀포시 대정읍 상모리 626-2 외 시 .. *제주/천연기념물 2013.03.08
제주 안덕계곡 상록수림(천연기념물377호) 안덕계곡 상록수림은 제주도의 남서쪽 도로변에 위치하고 있다. 구성하고 있는 식물들로는 구실잣밤나무, 참식나무, 후박나무, 붉가시나무, 남오미자, 바람등칡, 보리장나무, 후피향나무 등을 비롯한 300여 종의 식물들이 있다. 특히 각종 고사리류와 희귀식물인 담팔수, 상사화 등이 자.. *제주/천연기념물 2013.03.06
제주 천제연 난대림(천연기념물378호) 천제연 난대림지대는 서귀포시 중문동에서 서쪽으로 500m 지점에 위치한 계곡을 따라 남쪽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곳은 온난한 기후대에서 자생하는 식물들이 빽빽히 우거져 숲을 이루고 있다. 난대림지대를 구성하고 있는 식물로는, 희귀식물인 솔잎란과 백량금, 죽절초, 담팔수나무, 구.. *제주/천연기념물 2013.02.21
제주 연안연산호군락(천연기념물442호) 연산호란 부드러운 겉표면과 유연한 줄기구조를 갖춘 산호를 통틀어 말한다. 제주 남부 연안의 연산호 군락을 구성하는 산호충류는 무척추 동물로 "바다의 꽃"이라 불린다. 특히, 연산호류는 육상의 맨드라미를 닮았으며 부드러운 동물체로 수축 ·이완상태에 따라 크기에 변화가 심.. *제주/천연기념물 2013.02.13
제주 도순리 녹나무 자생지(천연기념물162호) 녹나무는 사시사철 잎이 푸른 나무로 제주도, 일본, 대만, 중국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어린 가지는 황록색이고 윤택이 있으며, 잎의 길이는 6∼10㎝로 가지에 서로 어긋나게 자란다. 어린 잎은 붉은 빛이 돌아 봄부터 여름까지 나무 전체가 특이한 붉은 빛으로 보인다. 꽃은 5월에 피는데 .. *제주/천연기념물 2013.01.14
제주 서귀포층 패류화석 산지(천연기념물195호) 서귀포층의 패류화석은 서귀포시 남서 해안 절벽에 있는 조개종류의 화석을 말한다. 이 절벽에는 퇴적암층이 드러나 있고 거친면이 현무암으로 덮여 있다. 이 화석층에서는 조개화석 위주의 동물화석이 많이 발견된다. 약 200∼300만년 전에 화석생물과 함께 쌓여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되.. *제주/천연기념물 2013.01.14
제주 천지연 난대림(천연기념물379호) 천지연 난대림은제주도 서귀포시 서귀동 천지연폭포 계곡에 위치하고 있다. 이곳은 따뜻하고 습기가 많아, 온난한 기후대에서 자생하는 식물들이 빽빽히 우거져 숲을 이루고 있다. 난대림은 구성하고 있는 식물로는 구실잣밤나무, 동백나무, 까마귀쪽나무, 후박나무, 참식나무, 새덕이, .. *제주/천연기념물 2013.01.14
제주 무태장어 서식지(천연기념물27호) 무태장어는 뱀장어과에 속하는 열대성물고기로서 아프리카 동부에서 남태평양, 동남아시아, 중국 등에 걸쳐 널리 분포하며, 우리나라의 제주도는 일본의 나가사키와 함께 무태장어가 살 수 있는 북쪽 한계지역이다. 몸길이가 2m까지 자라는 큰 물고기로 몸은 황갈색 내지 암청색이며 배.. *제주/천연기념물 2013.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