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충단에 서 있던 비이다. 장충단은 조선 고종 32년(1895)에 일어난 명성황후 시해사건 당시 일본인을 물리치다 순사한 홍계훈, 이경직 및 여러 신하들의 혼을 위로하기 위해 세운 제단이다. 비는 반듯한 사각받침돌 위로 비몸을 세운 간결한 구조이다. 앞면에는 ‘장충단(奬忠檀)’이라는 비의 명칭이 적혀 있는데, 순종이 황태자시절에 쓴 글씨이다. 뒷면에는 민영환이 쓴 비문이 기록되어 있다. 광무 4년(1900) 고종의 명에 의해 장충단을 지을 때 비도 함께 세워 놓았다. 일제는 1910년 한일합방 후 이 비를 뽑아 버렸으며, 1920년대 후반부터는 여러 시설들을 마구 설치하여 ‘장충단 공원’이라 이름 붙였다. 광복 후 일제가 세웠던 건물을 모두 헐면서, 비도 다시 찾아 세우게 되었고, 1969년 지금의 자리인 수표교(서울시유형문화재 제18호) 서쪽에 옮겨 세웠다. 명성황후< 明成皇后 >민씨< 閔氏 >가 을미년< 乙未年 >(1895) 8월 20일 경복궁 <景福宮 >에서 잔학한 일본인< 日本人 >에 의하여 시해< 弑害 >당할 때 궁내부< 宮內府 >대신< 大臣 >이경직< 李耕稙 >, 시위대장< 侍衛隊長 >홍계훈< 洪啓薰 >을 비롯하여 그 밖의 장병들이 일본인을 물리치다가 장렬히 순사하였다. 고종황제< 高宗皇帝 >는 그들의 영령< 英靈 >을 위로하기 위하여 광무< 光武 >4년(1900) 11월, 남소영< 南小營 >자리(현재의 영빈관 자리)에 사당< 祠堂 >인 장충단< 奬忠壇 >을 짓고 이 비를 세워 매년 봄 가을에 제를 지냈다. 사당은 6·25 때 파손되었고, 이 비는 1969년 원래의 소재지에서 현 위치로 옮겨졌다. (출처 : 문화재청)
고인이 된 가수 배호씨가 불렸던 '안개낀 장충단공원'이 생각나네요. 이 장충단공원에 있는 장충단비.
'*서울 > 유형문화재,기념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로 조계사 대웅전(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127호) (0) | 2012.01.28 |
---|---|
종로 정업원터(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5호) (0) | 2011.11.29 |
중구 수표교(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18호) (0) | 2011.10.20 |
종로 종친부 경근당과 옥첩당(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9호) (0) | 2011.04.16 |
마포 망원정지(서울특별시 기념물9호) (0) | 2011.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