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종의 왕비인 정순왕후 송씨를 추모하기 위해 세운 비이다. 송씨는 단종이 영월에서 죽음을 당하자, 정업원에 머물며 평생동안 그의 명복을 빌었다. 정업원은 여승방(女僧房)으로 원래 창덕궁에서 그리 멀지 않은 도성안에 있는 것인데, 성 밖에 있었다는 전설에 따라 이곳에 비를 세우고 비각도 짓게 되었다. 이는 정순왕후 송씨가 동대문 밖인 이곳에서 지냈던 사실과 정업원의 주지로 있었던 일이 얽혀서 잘못 전해온 것으로 보인다. 조선 영조 47년(1771)에 세운 비로, 비문 일부와 비각 현판의 글은 왕이 손수 쓴 것이다.(출처 : 문화재청)
'*서울 > 유형문화재,기념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로 조계사 목불좌상(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126호) (0) | 2012.01.28 |
---|---|
종로 조계사 대웅전(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127호) (0) | 2012.01.28 |
중구 수표교(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18호) (0) | 2011.10.20 |
중구 장충단비(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1호) (0) | 2011.10.20 |
종로 종친부 경근당과 옥첩당(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9호) (0) | 2011.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