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대전/천연기념물, 노거수

보은 속리 정이품송 (천연기념물103호)

천지연미소바위 2011. 4. 16. 10:43

 *부인인 천연기념물352호인 서원리 소나무(http://blog.daum.net/dbsqkqh/123)는 보은군 장안면소재지에서 505호 도로를 타고 삼가저수지 방향으로 가다보면 왼쪽에 있다. 남편인 속리산 정이품송과는 직선거리로 약 4km떨어져 있다. 부인이 남쪽에 있다. 남편은 한쪽이 많이 망가졌는데 부인은 그래도 건강하게 잘 자라고 있어요. 남편은 위로 높게 자랐고 부인인 보은 서원리 소나무는 옆으로 넓게 퍼져있네요. 이런 소나무들이 건강하게 잘 자랐으면 하는 바램입니다.부인인 그런대로 잘자라는데 남편인 보은 속리 정이품송은 한쪽이 파손되어 안쓰럽네요. 이름값으로 따지자면 우리나라에서 제일 높은 나무일텐데....

 

 

 

  문화재청과 이름이....또 문화재청에는 나이가 600년으로 추정된다고 하였는데 현장 안내판에는 800년으로 되어 있네요. 세조가 1464년에 법주사에 갔고 정이품송의 현재 나이가 600살이라면 당시 나이가 50년 정도라는 얘기인데, 혹시 800살이 아닌런지요. 문화재청에 민원했네요.

 

 

 답변 : 귀하께서 지적하신 정이품송의 현장 안내판에는 600~800살 이라고 표기되었음을 해당 문화재의 관리단체인 보은군(043-540-33XX)으로부터 확인하였으며, 이는 세조와 얽힌 전설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추정하여 표기하였음을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나무의 수목을 측정할려면 일반적으로 나이테수를 측정하여 수령을 판단할수 있으나 그렇게 하지 못함을 잘 이해하시리라 생각되며, 천연기념물인 식물은 유래와 역사성등으로 가치로 인정받아 문화재로 지정되므로 수령은 일반적으로 추정치로 함을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아울러 우리 문화유산에 대한 귀하의 깊은 관심과 애정에 다시 한번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문화재청에 있는 내용을 지적했는데 답변의 방향이.....다시 전화민원했네요.

 

 

 

 

 

 

 

2015. 8. 8일에 다시 찾은 속리산 정이품송. 전에 비해 건강해 보이네요. 잎도 무성하게 나고요. 웬지 반갑네요.  

 

 

 

 

 

 

 

 

 

 

 

 

 

 

 

 

 

소나무, 곰솔, 백송, 소나무 숲 등 천연기념물이 많다. 그중 보았던 소나무 천연기념물이다

보은 서원리 소나무 (천연기념물352호, http://blog.daum.net/dbsqkqh/123)

보은 속리 정이품송 (천연기념물103호, http://blog.daum.net/dbsqkqh/124)

이천 도립리반룡송(천연기념물381호, http://blog.daum.net/dbsqkqh/1311)

합천 화양리 소나무(천연기념물289호, http://blog.daum.net/dbsqkqh/1871)

예천 천향리 석송령(천연기념물294호, http://blog.daum.net/dbsqkqh/1881)

괴산 적석리 소나무(천연기념물383호, http://blog.daum.net/dbsqkqh/3455)

괴산 삼송리 소나무(천연기념물290호, http://blog.daum.net/dbsqkqh/2895)

문경 대하리소나무(천연기념물425호, http://blog.daum.net/dbsqkqh/2309)

안동 하회마을 만송정 숲(천연기념물473호, http://blog.daum.net/dbsqkqh/2972)

예천 금당실 송림(천연기념물469호, http://blog.daum.net/dbsqkqh/1877)

영월 청령포 관음송(천연기념물349호, http://blog.daum.net/dbsqkqh/76)

 

종 목 : 천연기념물 제103호

명 칭 : 보은 속리 정이품송 (報恩 俗離 正二品松)

분 류 :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문화역사기념물/ 민속

수량/면적 : 7,680㎡(보호구역)

지정(등록)일 : 1962.12.03

소 재 지 : 충북 보은군 속리산면 상판리 241외

시 대 :

소유자(소유단체) : 보은군

관리자(관리단체) : 보은군수

속리산 법주사로 가는 길 한가운데 서 있는 속리의 정이품송은 나이가 약 600살 정도로 추정되는 소나무로, 높이 14.5m, 가슴높이 둘레 4.77m이다. 이 소나무가 정이품송이라는 이름을 얻게 된 데에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있다. 세조 10년(1464)에 왕이 법주사로 행차할 때 타고 있던 가마가 이 소나무 아래를 지나게 되었는데, 가지가 아래로 처져 있어 가마가 가지에 걸리게 되었다. 이에 세조가 “가마가 걸린다”고 말하니 소나무가 자신의 가지를 위로 들어 왕이 무사히 지나가도록 하였다 한다. 또 세조가 이곳을 지나다가 이 나무 아래에서 비를 피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이리하여 세조는 이 소나무의 충정을 기리기 위하여 정이품(현재의 장관급) 벼슬을 내렸고, 그래서 이 소나무를 정이품 소나무라 부르게 되었다. 이 소나무는 살아오는 동안 각종 재해를 입었는데, 특히 1980년대 초 솔잎혹파리의 피해 때문에 많은 비용을 들여 대규모 방충망을 설치하기도 했다. 이 소나무는 원래 삿갓 또는 우산을 편 모양으로 단정하고 아름다운 모습이었는데, 1993년 강풍으로 서쪽 큰 가지가 부러져 그 모습이 많이 상하였다. 속리의 정이품송은 나무의 모양이 매우 아름다우며, 크고 오래된 나무이어서 생물학 및 생물유전자원으로서의 가치가 매우 크고, 임금에게 섬기는 그 시대상을 잘 전해주는 전설을 가지고 있는 등 문화적인 가치 또한 크므로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수령(樹齡)은 600여년이며, 나무의 크기는 높이가 14.5m, 가슴높이의 둘레가 4.77m이다. 가지의 길이는 동서가 13.70m이고, 남북이 17.28m이다. 이 곳 속리의 정이품송은 천연기념물 노거수로서 용문사의 은행나무와 함께 쌍벽을 이루고 있다. 이 소나무는 법주사로 들어가기전 약 3㎞되는 지점에 서 있고 그 주변을 지나는 도로가 있다. 이 소나무는 수관이 우산을 편 모양으로 정제하고 무척 아름답다. 사방으로 고루 퍼진 곁가지가 알맞게 아래로 드리우고 있다. 불행하게도 1993년 봄에 폭풍이 불어 곁가지 하나가 절단되어 대칭적인 수관에 흠집을 낸 것은 안타까운 일이었다. 이 나무는 다음과 같은 전설을 안고 있다. 즉 1464년(甲申年) 세조대왕(世祖大王)이 법주사로 행차를 하실 때 대왕을 태운 가마가 이 소나무의 아랫가지에 걸리게 되자 이 소나무는 그 가지를 쳐들어 어가(御駕)를 무사히 통과시켰다고 한다. 그래서 이 소나무를 "연(輦)걸이 소나무"로 부르기도 한다. 또 대왕께서 이곳을 지나다가 비를 피했다는 말도 있다. 왕이 큰 소나무 아래에서 비를 피했다는 전설은 중국에도 있긴 하다. 이러한 사연으로 해서 대왕께서는 이 소나무에 정이품(正二品)(현재의 장관급의 위계)의 벼슬을 내리셨다는 것이다. 그래서 이 소나무를 정이품소나무로 부르고 있다. 이 소나무가 서 있는 앞마을의 명칭이 진허(陣墟)인데 이것은 그당시 대왕을 호위하던 군사들이 진을 치고 머물렀다는 데서 생긴 지명이라고 한다. 이러한 일이 약 440년전에 있었던 것이라면 이 소나무의 수령은 약 600년 정도로 추정될 수 있다. 이 소나무는 옆을 흐르는 계류가 퇴적시킨 사질 양토위에 서 있는데 이러한 토성은 수분조건, 공기조건 그리고 토양 미생물의 번식 등 소나무에 적합해서 이 소나무가 그간 건강하게 오래 살아 올 수 있었다고 짐작된다. 이 소나무는 그간 줄기 아랫쪽 일부가 부패해서 외과시술을 받은 바 있으며 1980년경부터 우리나라 남쪽에서 소나무를 가해하면서 올라온 솔잎혹파리의 침범이 이곳에 이르자 1982년에는 높이 18m에 이르는 8각주형(角註形)의 철골시설물을 세우고 이에 방충망을 설치해서 솔잎혹파리의 침입을 차단했던 것이다. 이것이 큰 효과를 발휘해서 소나무는 솔잎혹파리의 피해에서 벗어날 수 있었던 것이다. 이에는 엄청난 비용이 소요되었는데 이를 계기로 우리국민의 나무사랑의 지극함이 국내외로 전해졌다. 이 방충망시설은 큰 비용부담과 또 솔잎혹파리의 해가 없을 것으로 판단되자 1991년에 철거시켰다. 그 뒤 정이품송의 수세회복을 위한 연구용역 및 보호사업을 실시하고 있으나 워낙 나무의 나이가 오래되었고 해서 앞으로 왕성한 생리의 회복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출처 : 문화재청)

 

문화재청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6,01030000,33&queryText=((V_KDCD=16)) <and>(((V_NO >=103)<and>(V_NO <= 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