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광주 김자수선생묘(경기도 기념물98호) 2

천지연미소바위 2011. 11. 9. 12:21

 고려의 문신인 상촌(桑村) 김자수 선생의 묘소이다. 고려 공민왕 23년(1374) 문과에 급제하였으며, 우왕 초에 사간원의 정언이 되었다. 이때 왜구 토벌의 공로로 포상받은 조민수의 사은편지에 회답하는 교서를 지으라는 왕명을 받았으나, 조민수가 왜구와의 전투에서 도망쳐 많은 병사를 죽게 하였다고 이를 거절하여 전라도 돌산에 유배되었다. 공양왕 4년(1392) 충청도 관찰사·형조판서에 이르렀으나, 고려말 정세가 어려워지자 모든 관직을 버리고 고향인 안동에 은거하다가, 무덤에 비석을 세우지 말라는 유언을 남기고 자결하였다. 묘 앞에는 혼유석·상석·향로석이 있고, 그 앞에 장명등(長明燈:무덤 앞에 세우는 돌로 만든 등)이 있으며 좌우로 석양(石羊)과 망주석이 각 1쌍, 문인석이 2쌍 배열되어 있다. 상석 좌우에 세워진 문인석은 양식으로 보아 조선 초기의 것으로 생각되며, 묘역 앞쪽의 문인석은 조선 후기의 양식이고, 그 밖의 상석·장명등·석양 등은 근래에 세운 것이다. 묘비는 그의 유언으로 세우지 않았다. 신도비(神道碑:왕이나 고관 등의 평생 업적을 기리기 위해 무덤 근처 길가에 세운 비)는 땅에 묻혀 있던 것을 1926년에 후손들이 발굴하였으나, 비문이 닳아 없어져 새로 채유후가 지어서 세웠다. 고려의 충신으로 고려가 멸망한 것을 비관하고 자결한 김자수(생몰년 미상)를 모신 유택이다. 봉분 앞에는 혼유석·상석·향로석이 있고, 그 앞에 장명등이 위치하고 있으며 묘역 좌우로 석양(石羊)과 망주석이 1쌍, 문인석이 2쌍 배열되어 있다. 상석 좌우에 세워진 문인석은 높이 80㎝로 작은 크기이며 고졸(古拙)한 느낌이다. 양식으로 보아 조선 초기의 것으로 생각되며, 묘역 앞쪽의 문인석은 금관조복(金冠朝服)의 형태로 조선 후기의 양식이고, 그 밖의 석양·장명등·상석 등의 석물은 근래에 세운 것이다. 묘비는 그의 유언으로 세우지 않았다. 신도비(神道碑)는 땅에 묻혀 있던 것을 1926년에 후손들이 발굴하였으나 비문의 마모가 심하여 새로 채유후(蔡裕後)가 찬(撰)하여 건립하였다. 김자수는 고려 공민왕(恭愍王) 23년(1374) 문과에 급제하였다. 우왕(禑王) 초에 사간원(司諫院)의 정 6품 벼슬인 정언(正言)이 되었는데, 왜구 토벌의 공으로 포상받은 조민수(曺敏修)의 사은 편지에 회답하는 교서를 지으라는 왕명을 받았다. 그러나 그는 조민수가 전날 왜구와의 전투에서 도망쳐서 많은 사졸(士卒)을 죽게 하였다고, 교서를 거절하여 전라도 돌산에 유배되었다. 공양왕(恭讓王) 때에는 왕에게 직언하는 상소를 올리기도 하였다. 공양왕 4년(1392) 충청도관찰사(觀察使)·형조판서(刑曹判書)에 이르렀으나 고려 말 정세가 어지러워지자 모든 관직을 버리고 고향인 안동에 은거하였다. 조선이 개국된 뒤 태종(太宗)이 형조판서로 불렀으나 나가지 않았다. 그리고 무덤에 비석을 세우지 말라는 유언을 남기고 자결하여 고려에 대한 충성을 지켰다.(출처 : 문화재청)

 

 

 

 

 

 

안내판 뒤로 올라가는 길이...

 

 

 

맨위에 있는 묘가 김자수선생묘인 줄 알고 갔는데

 

 

 

묘비를 보니 아니고

 

 

   맨아래에 있는 묘가 김자수 묘이네요. 아무리 유언이라도 안내판이라도 옆에 있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묘는 새롭게 단장되었네요.

 

 

 

 

문화재청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3,00980000,31&queryText=((V_KDCD=23))%20<and>(((V_NO%20>=98)<and>(V_NO%20<=%20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