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인천/유형문화재,기념물

용인 채제공선생 묘(경기도 기념물17호)

천지연미소바위 2011. 10. 27. 11:33

조선 정조 때의 문신인 번암(樊巖) 채제공(1720∼1799) 선생의 묘소이다. 영조 19년(1743)에 문과에 급제하여 이조참판·우의정·좌의정·영의정 등의 주요 관직을 거쳤고,『열성지장』과『국조보감』의 편찬사업에 참여하였다. 영조와 정조대에 걸친 기간 중 정치·경제·문화·사회 등 각 분야에 많은 업적을 남겼는데, 특히 수원성곽 축성에 많은 공을 세워 정조로부터 두터운 신임을 받았다. 봉분의 앞에는 상석과 향로석이 있고, 좌우로 망주석과 석양(石羊)이 1쌍씩 서 있다. 봉분의 오른쪽으로는 묘비가 서있고, 약 80m 떨어진 비각 안에는 정조가 직접 썼다는 뇌문비(뇌文碑:죽은 사람의 생전의 공덕을 칭송하는 글을 새긴 비)가 있어 정조의 총애를 짐작할 수 있다.(출처 : 문화재청)

 

 

세계문화유산인 수원화성의 공사의 주역인 채제공선생묘.

 

 

 

  에버랜드에서 용인시청쪽으로 가다 삼군사사거리(운곡1교차로)에서 좌회전하여 1km정도 가면 왼쪽에 이정표가...(삼군사 사거리를 쳐다본 사진)

 

 

숲속마을 표지판에서 삼성빌라쪽으로 우회전하면

 

 

정면에 채제공선생뇌문비 누각이 보이며

 

 

누각 오른편으로 조금만 올라가면 채제공 묘소가 있음

 

 

 

 

 

문화재청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3,00170000,31&queryText=((V_KDCD=23))%20<and>(((V_NO%20>=17)<and>(V_NO%20<=%2017)))

 

용인시 모현면에 다음과 같은 분들이 잠들어 있어 살아서 진천 죽어서 용인이라는 말이 있지 않나 한다.

-용인 정몽주선생묘(경기도 기념물1, http://blog.daum.net/dbsqkqh/1610)

-용인 저헌 이석형선생묘(경기도 기념물171, http://blog.daum.net/dbsqkqh/1603)

-용인 오윤겸선생묘(경기도 기념물104, http://blog.daum.net/dbsqkqh/1588)

-용인 오달제선생 묘 및 대낭장비(용인 향토유적3, http://blog.daum.net/dbsqkqh/1609)

-용인 남구만묘(용인 향토유적5, http://blog.daum.net/dbsqkqh/2661)

-용인 오명항선생 묘(용인 향토유적12, http://blog.daum.net/dbsqkqh/1831)

-용인 이일장군 묘(용인 향토유적 21, http://blog.daum.net/dbsqkqh/1227)

-용인 오희문묘(용인 향토유적34, http://blog.daum.net/dbsqkqh/1587)

-용인 홍계희 묘(용인 향토유적37, http://blog.daum.net/dbsqkqh/1830)

-용인 이사위묘(용인 향토유적63, http://blog.daum.net/dbsqkqh/1228)

 

또 가까운 곳에 이런 분들도 잠들어 있다.

-용인 채제공선생 묘(경기도 기념물17, http://blog.daum.net/dbsqkqh/1225)

-용인 이애-경신공주묘(용인 향토유적32, http://blog.daum.net/dbsqkqh/1825)

-용인 정윤복-정호선 묘(용인 향토유적47, http://blog.daum.net/dbsqkqh/1828)

-용인 이백지 묘(용인 향토유적57, http://blog.daum.net/dbsqkqh/1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