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오개혁 이후 자주독립의 의지를 다짐하기 위해 세운 기념물이다. 갑오개혁(1894∼1896)은 내정개혁과 제도개혁을 추진하였던 개혁운동이다. 그러나 외국세력의 간섭으로 성공하지 못하였고, 나라의 자주독립 또한 이루지 못하였다. 이에 국민들은 민족의 독립과 자유를 위해서는 어떠한 간섭도 허용하지 않겠다는 다짐으로, 중국사신을 맞이하던 영은문을 헐고 그 자리에 독립문을 세우게 되었다. 서재필이 조직한 독립협회의 주도하에 국왕의 동의를 얻고 뜻있는 애국지사와 국민들의 폭넓은 지지를 얻으며, 프랑스 파리의 개선문을 본떠 독립문을 완성하였다. 화강석을 쌓아 만든 이 문의 중앙에는 무지개 모양의 홍예문이 있고, 왼쪽 내부에는 정상으로 통하는 돌층계가 있다. 정상에는 돌난간이 둘러져 있으며, 홍예문의 가운데 이맛돌에는 조선왕조의 상징인 오얏꽃무늬가 새겨져 있다. 그 위의 앞뒤에는 한글과 한자로 ‘독립문’이라는 글씨와 그 양옆에 태극기가 새겨져 있다. 문앞에는 영은문주초(사적 제33호) 2개가 남아있다. 원래 남동쪽으로 70m떨어진 길 가운데에 있었는데, 1979년 성산대로 공사에 따라 지금의 위치로 옮기게 되었다.(출처 : 문화재청)
독립문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현저동에 있는데 중국사신을 접대하던 모화관의 정문인 영은문을 허물고 화강암 1,850개를 쌓아 만들었다.
독립문 앞 좌우에 있는 돌기둥이 사적33호인 서울 영은문 주초이다.
'*서울 > 명승, 사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로 사직단(사적121호) (0) | 2012.01.15 |
---|---|
서울 영은문 주초(사적33호) (0) | 2012.01.09 |
서대문 구서울구치소(서대문형무소역사관,사적324호) (0) | 2012.01.08 |
서대문 구서울구치소(서대문형무소역사관,사적324호) (0) | 2012.01.08 |
서울 청계천 유적(사적461호) (0) | 2012.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