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산성 안에서 군사가 주둔하던 중군영(中軍營)의 문이었으나 광복 이후 8·15해방을 기리는 뜻으로 광복루라 불렀다. 광복루는 원래 공산성의 북문인 공북루 옆에 있던 것을 현 위치로 옮기고 웅심각이라 불렀는데, 1946년에 백범 김구와 성재 이시영이 이곳에 와서 나라를 다시 찾았다는 뜻을 기리고자 고쳐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앞면 3칸·옆면 2칸 규모의 2층 누각으로 모든 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왼쪽에는 오르내릴 수 있도록 층계를 만들어 두었다. 지붕은 옆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으로 꾸몄다.(출처 : 문화재청)
'*충청-대전 > 문화재자료,등록문화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종 금남 남산영당(구 충청남도 문화재자료72호, 세종특별자치시 문화재자료7호) (0) | 2012.03.03 |
---|---|
공주 충현서원(충청남도 문화재자료60호) (0) | 2012.03.03 |
공주 공산성쌍수정(충청남도 문화재자료49호) (0) | 2012.02.17 |
청양삼층석탑(충청남도 문화재자료148호) (0) | 2012.01.01 |
공주 숙종대왕 태실비(충청남도 문화재자료321호) 2 (0) | 2011.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