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초기에 유학자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지내며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지은 교육기관이다. 처음 지은 정확한 연대는 알지 못하나, 원래 웅진동 송산 기슭에 있던 것을 인조 원년(1623)에 지금의 위치로 옮겨지었다고 전한다. 그 뒤 여러 차례의 보수가 있었고, 1954년 문묘·명륜당·동재·존경각 등을 보수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외삼문을 들어서면 강당인 명륜당이 있고 그 양쪽에 동재와 존경각이 있다. 뒤쪽 한층 높은 곳에 있는 내삼문을 들어서면 정면에 사당인 대성전이 있으며, 그 양쪽에 동무와 서무가 있다. 즉 교육공간은 앞쪽에, 제사공간은 뒤쪽에 구분하여 배치하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노비·책 등을 지급받아 학생을 가르쳤으나, 갑오경장(1894) 이후 교육기능은 없어지고 제사기능만 남아있다.(출처 : 문화재청)
'*충청-대전 > 유형문화재,기념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주 귀산리만경노씨삼의사생가지(충청남도 기념물23호) (0) | 2012.03.04 |
---|---|
공주 황새바위천주교순교유적(충청남도 기념물178호) (0) | 2012.03.04 |
공주 마곡사 포교당 범종(충청남도 유형문화재181호) (0) | 2012.03.04 |
공주 중동성당(충청남도 기념물142호) (0) | 2012.03.03 |
공주 옥녀봉성(충청남도 기념물99호) (0) | 2012.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