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명승, 사적

서울 한양도성(사적10호)

천지연미소바위 2012. 7. 21. 14:53

서울의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조선시대의 도성(都城)이다. 조선 건국 초에 태조가 한양으로 수도를 옮기기 위하여 궁궐과 종묘를 먼저 지은 후, 태조 4년(1395) 도성축조도감을 설치하고 한양을 방위하기 위해 성곽을 쌓도록 하였다. 석성과 토성으로 쌓은 성곽에는 4대문과 4소문을 두었다. 4대문은 동의 흥인지문 ·서의 돈의문 ·남의 숭례문 ·북의 숙정문이고, 4소문은 동북의 홍화문 ·동남의 광희문 ·서북의 창의문 ·서남의 소덕문을 말한다. 동대문에만 성문을 이중으로 보호하기 위한 옹성을 쌓았고, 북문인 숙정문은 원래 숙청문이었는데 이 숙청문은 비밀통로인 암문으로 문루(門樓)를 세우지 않았다. 세종 4년(1422)에 대대적으로 고쳤는데, 흙으로 쌓은 부분을 모두 돌로 다시 쌓고 공격 ·방어 시설을 늘렸다. 숙종 30년(1704)에는 정사각형의 돌을 다듬어 벽면이 수직이 되게 쌓았는데 이는 축성기술이 근대화되었음을 보여준다. 이처럼 서울 성곽은 여러 번에 걸친 수리를 하였으나, 쌓는 방법과 돌의 모양이 각기 달라 쌓은 시기를 구분할 수 있다. 일제시대에는 도시계획이라는 구실로 성문과 성벽을 무너뜨렸고, 해방과 한국전쟁으로 인해 더욱 많이 파괴되었다. 현재 삼청동 ·장충동 일대의 성벽 일부와 숭례문 ·흥인지문 ·홍예문만이 남아있다. 서울 성곽은 조선시대 성 쌓는 기술의 변화과정을 살펴볼 수 있는 좋은 자료이며, 조상들이 나라를 지키려는 호국정신이 깃든 귀중한 문화유산이다. ※ (서울성곽 → 서울 한양도성)으로 명칭변경 되었습니다.(2011.07.28 고시)

서울 성곽은 조선< 朝鮮 >태조< 太祖 >가 1394년 한양< 漢陽 >으로 천도하여 한양 방위를 위해 태조< 太祖 >4년(1395) 도성축조도감< 都城築造都監 >을 설치하고 팔도< 八道 >인원< 人員 >20만을 동원하여 쌓은 성곽이다. 석성< 石城 >과 토성< 土城 >으로 축조된 성곽은 짧은 기간에 갑자기 쌓아 부실한 곳이 많았으므로, 세종< 世宗 >4년(1422)에 약 32만의 인원을 동원하여 장방형< 長方形 >마름돌로 전면 개축하였다. 그후 숙종< 肅宗 >30년(1704)에 다시 정방형< 正方形 >의 돌로 보수하였다. 그러나 서울 성곽은 일제< 日帝 >의 침략이 시작되면서 도시 계획의 명목 아래 허물어지기 시작하였고, 해방과 6·25 혼란기에 더욱 많이 파괴되었다. 성곽은 조상들이 나라를 지키려는 유비무환< 有備無患 >의 호국정신< 護國精神 >이 깃들인 귀중한 문화유산< 文化遺産 >으로 길이 보존해야 할 호국유적< 護國遺蹟 >이다.(출처 : 문화재청)

 

  서울시 도보관광여행(http://www.visitseoul.net/kr/article/article.do?_method=view&m=0004004004001&p=04&art_id=50027&lang=kr) 중 최순우 옛집을 보고 길상사 가기전 서울과학고등학교 뒷편 한양도성이다. 예전에는 서울성곽으로 불리웠다.

 

 

 

태조, 세종, 숙종 때 시대별 축조 기법이 다르다.

 

 

 

 

 

 

 

오른쪽 작은돌로 쌓은 곳이 태조때.

 

 

 

오른쪽 커다란 돌로 쌓은 곳이 세종때, 왼편은 숙종때 쌓은 성곽.

 

 

아래는 세종때, 위는 숙종때 쌓은 성곽

 

 

 

마을 뒷편으로 성곽이 보인다.

 

 

문화재청 : http://www.visitseoul.net/kr/article/article.do?_method=view&m=0004004004001&p=04&art_id=50025&lang=kr